경북도는 16일 경상북도 홈페이지에 도민들이 지원받을 수 있는 저출생 극복 대책을 소개한 ‘저출생 대전환, 더 피부에 와 닿는 150대+ 실행 과제’ 안내 책자를 게시했다.150대+ 실행 과제 책자는 정부, 경북도, 시군에서 마련한 저출생 극복 사업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만남 주선 ▵행복 출산 ▵완전 돌봄 ▵안심 주거 ▵일‧생활 균형 ▵양성평등 등 분야별로 안내돼 있어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다.또한, 150대+ 사업마다 담당 부서와 연락처까지 기재돼 있어 언제든 궁금한 사안이 있으면 전화하면 된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경북도가 구축 중인 돌봄 통합서비스 플랫폼에서 생애주기별 돌봄 관련 정책에 대한 통합 안내를 받을 수 있다. 현재 도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고도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경북도가 저출생과 전쟁 시즌2를 맞아 준비한 더 피부에 와 닿는 저출생 주요 정책 중 몇 가지가 새롭게 다가온다.먼저, 20대에 결혼한 신혼부부에게 세탁기, 냉장고, 침대 등 가전 가구 구매 비용 100만 원을 지원한다. 도비와 시군비 3억 원이 투입되며 300가구 정도가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도는 일찍 결혼하는 사회 분위기 조성을 위해 수혜 가구와 대상, 지원 비용 등을 현장 의견을 들어 보강할 계획이다.또한, 경북도에서 출산하면 출산 축하 용품, 산모 건강 회복을 위한 동해 특산 미역, 친환경 농산물, 초보 엄마‧아빠를 위한 책 선물 등이 패키지로 지원되며 어촌 마을 태교 여행, 예비 엄마‧아빠 행복 가족 여행도 보내준다.이에 더해 도는 남성 난임 시술비 지원(회당 100만 원 / 최대 3회), 35세 이상 산모 의료비 지원(임신당 최대 50만 원), 생식 세포 동결 보존 비용 지원(여 200만 원, 남 30만 원) 사업을 추진해 임신과 출산 비용 부담을 덜어준다.지난해 온 마을이 함께 돌보는 공동체 돌봄 기반 조성에 더해 올해는 아픈 아이 긴급 돌봄센터를 12개소로, 24시 어린이집 시간제 보육 지원은 30개소로 확대해 운영한다. 또한, 교통과 문화 시설이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영유아 창의센터를 운영하고 돌봄과 독서를 함께 할 수 있도록 함께 키우는 작은 도서관 돌봄 사업도 10개 시군에서 시행된다.   경북도는 16일 경상북도 홈페이지에 도민들이 지원받을 수 있는 저출생 극복 대책을 소개한 ‘저출생 대전환, 더 피부에 와 닿는 150대+ 실행 과제’ 안내 책자를 게시했다.150대+ 실행 과제 책자는 정부, 경북도, 시군에서 마련한 저출생 극복 사업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만남 주선 ▵행복 출산 ▵완전 돌봄 ▵안심 주거 ▵일‧생활 균형 ▵양성평등 등 분야별로 안내돼 있어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다.또한, 150대+ 사업마다 담당 부서와 연락처까지 기재돼 있어 언제든 궁금한 사안이 있으면 전화하면 된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경북도가 구축 중인 돌봄 통합서비스 플랫폼에서 생애주기별 돌봄 관련 정책에 대한 통합 안내를 받을 수 있다. 현재 도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고도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경북도가 저출생과 전쟁 시즌2를 맞아 준비한 더 피부에 와 닿는 저출생 주요 정책 중 몇 가지가 새롭게 다가온다.먼저, 20대에 결혼한 신혼부부에게 세탁기, 냉장고, 침대 등 가전 가구 구매 비용 100만 원을 지원한다. 도비와 시군비 3억 원이 투입되며 300가구 정도가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도는 일찍 결혼하는 사회 분위기 조성을 위해 수혜 가구와 대상, 지원 비용 등을 현장 의견을 들어 보강할 계획이다.또한, 경북도에서 출산하면 출산 축하 용품, 산모 건강 회복을 위한 동해 특산 미역, 친환경 농산물, 초보 엄마‧아빠를 위한 책 선물 등이 패키지로 지원되며 어촌 마을 태교 여행, 예비 엄마‧아빠 행복 가족 여행도 보내준다.이에 더해 도는 남성 난임 시술비 지원(회당 100만 원 / 최대 3회), 35세 이상 산모 의료비 지원(임신당 최대 50만 원), 생식 세포 동결 보존 비용 지원(여 200만 원, 남 30만 원) 사업을 추진해 임신과 출산 비용 부담을 덜어준다.지난해 온 마을이 함께 돌보는 공동체 돌봄 기반 조성에 더해 올해는 아픈 아이 긴급 돌봄센터를 12개소로, 24시 어린이집 시간제 보육 지원은 30개소로 확대해 운영한다. 또한, 교통과 문화 시설이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영유아 창의센터를 운영하고 돌봄과 독서를 함께 할 수 있도록 함께 키우는 작은 도서관 돌봄 사업도 10개 시군에서 시행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