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권자들은 이번 22대 총선에서 역대 가장 긴 51.7㎝에 달하는 비례대표 선거 투표용지로 기표하게 됐다. 이는 2004년 17대 총선부터 지역구 후보자와 지지 정당에 각각 기표하는 정당명부식 `1인 2표제`가 도입된 이래 역대 가장 길다. 비례대표 후보 등록을 신청한 정당 38개가 모두 선관위 심사를 통과했다. 준연동형 비례제가 적용되는 이번 비례대표(국회의원 46명 선출)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의 비례정당(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기호3)과 국민의힘 비례정당인 국민의미래(기호4), 조국혁신당(기호9)이 3파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38개 정당이 표기되는 투표용지 길이가 51.7㎝가 되면서 100% 수개표로 이뤄진다. 선관위 투표지 분류기는 최대 34개 정당이 표기된 46.9㎝ 길이의 투표용지까지 분류·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같이 비례대표 선거에서 투표지 분류기도 사용하지 못할 정도로 정당 수가 많아 투표용지가 길어진 것은 준연동형 비례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준연동형 비례제는 총 300석 중 정당 득표율만큼을 계산한 뒤 이중 지역구 당선을 통해 획득한 의석수를 뺀 나머지의 절반을 비례대표 의석으로 보장한다. 병립형은 단순히 정당 득표율에 따라 비례대표 의석을 나누는 방법이다. 준연동형은 의석 배분 과정에서 지역구 당선자 수를 빼기 때문에 인지도와 지지도가 낮은 신생 정당의 국회 진입이 더 유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비례대표 선거 참여 정당은 20대 총선에서는 21개였지만 준연동형 비례제가 처음 도입된 지난 21대 총선에서는 35개로, 이번 22대 총선에는 38개로 각각 늘어났다. 비례대표 선거에 참여하는 정당의 경우 비례 투표에서 득표율 3%를 차지하거나 지역구 선거에서 5석 이상을 차지해야 비례대표 의석을 배분한다. 4·10총선 취재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