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할매글꼴이 윤석열 대통령 연하장에 사용돼 관심을 모았던 할매글꼴의 주인공들이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윤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를 만났다. 손글씨로 제작한 컴퓨터 글씨체인 `칠곡할매글꼴`로 전국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5명의 칠곡 할머니가 이날 대형 연하장을 들고 대통령실을 방문한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는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김재욱 칠곡군수와 정희용 국회의원을 비롯해 칠곡할매글꼴을 만든 이종희(91)·추유을(89)·이원순(86)·권안자(79)·김영분(77) 할머니와 특별한 만남을 가졌다. 윤 대통령은 취임 후 처음 보낸 새해 연하장과 문화예술인 신년 인사회는 물론 검찰총장 신분일 때 SNS에서 칠곡할매글꼴을 사용할 만큼 남다른 관심과 애정을 보였다. 칠곡할매글꼴이 대통령 연하장에 사용되자 칠곡 할머니는 대통령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하기 위해 가로 90cm, 세로 60cm 크기의 연하장을 준비했다. 이러한 소식을 접한 윤 대통령은 평생학습의 중요성을 전국에 알리고, 감사 인사를 전하기 위해 김재욱 칠곡군수와 칠곡 할머니들을 용산 집무실로 초청했다. 윤 대통령은 마치 어머님을 뵙는 아들처럼 할머니의 손을 따뜻이 잡고 눈높이를 맞추며 대화를 이어갔다. 또 대통령실 복도에 할머니가 쓴 시와 한글 공부하는 모습을 담은 사진을 전시하고 할머니가 작성한 `대통령에게 전하는 희망 메시지`에 서명해 대통령 기록물로 영구 보전하기로 했다. 할머니들은 정성껏 준비한 대형 연하장과 2015년 출판한 할머니들의 첫 시집 『시가 뭐고?』 및 텃밭에서 재배한 들깨·콩을 윤 대통령에게 선물했다. 이러한 소식을 접한 인문학목공소협동조합 측은 대통령에게 보낼 소형 와인 테이블을 제작했다. 할머니들은 농사로 주름진 투박한 손으로 세배하는 모습과 개, 토끼, 소. 새 등의 동물을 연하장에 그렸다. 동심으로 돌아가 크레파스로 색을 칠하고, 구수한 경상도 사투리로 설 명절 인사 문구를 작성해 어릴 적 고향의 설 풍경과 따뜻한 정을 전했다. 이들은 연하장에서 "칠곡할매들 안이자뿌고(잊지 않고) 기억해 주시가(주셔서) 고맙다"며 "글을 배아가(배워) 이래(이렇게) 대통령님께 글도 쓰고 참말로 잘한 것 같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명절에는 식구가 모이야(모여야) 되는데 나라일 단디한다고 식구도 다 못 보고 섭섭할 것 같다”며 “할매도 명절에는 죽은 영감 생각에 마음이 그렇다. 설이니까 복 많이 받고 건강도 잘 챙기자”고 덧붙였다. 할머니들은 "일흔을 넘어 글을 배아가(배워) 나라님 뵙는다고 며느리와 손주한테 자랑했다"며 "이번 대통령실 방문으로 한글 공부한 보람을 다시 느낀다"고 입을 모았다. 김재욱 칠곡군수는 “대통령실 방문을 앞두고 할머니들은 설레는 마음에 밤잠을 설치기도 했다”며 “일제 강점기와 가난으로 한글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마지막 세대의 할머니들이 남긴 소중한 유산을 문화관광 상품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칠곡할매글꼴은 성인문해교육을 통해 뒤늦게 한글을 배운 5명의 칠곡 할머니들이 4개월간 종이 2000여장에 수없이 연습한 끝에 완성됐다. 국립한글박물관 문화유산 등재는 물론 관광명소인 경주 황리단길과 관공서 현수막으로 내걸리고 있으며, 한컴과 MS오피스 프로그램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성원 대표기자 newsir@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