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 25일 "광역단체가 교육청에 지원하는 법정전출금 예산은 남아되는 만큼 이를 무상급식비에도 쓸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교육행정과 광역행정 간 불필요한 갈등을 유발하고 지방정부 재정난을 부추기는 교육재정교부금 제도를 대대적으로 손봐야 한다는 것이다.
지방교육청의 세입예산은 과세권이 없어 국세와 지방세에 의존하는 구조이며, 국세와 지방세의 일정부분을 일률적으로 시도교육청에 전달하는 실정이다.
특히, 중앙정부에서 배정하는 교육교부금 말고도 광역자치단체로부터 시·도세의 3.6~10%를 법정전출금으로 받고 있다. 경북도의 경우 2021년에만 5444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교육청에 지원했고, 이 가운데 법정전출금은 4222억원이고 비법정전출금은 1222억원이다.
학령인구는 지난 20년간 30%가 넘게 감소하고 있는데 학생수에 관계없이 법정전출금은 정부의 세금징수 실적에 연동해 계속 늘어나고 있어 초·중·고등학교의 사업성 자본지출을 늘이는 상황이다.
현장에서는 넘치는 교육예산 때문에 일선학교의 교직원들이 사업을 새로 수립하는데 동원될 형편이다.
법정전출금은 남아돌고 있는데 공립학교 설치?운영과 교육환경개선 사업 등에만 사용하면서 다시 시도지사에게 비법정전출금의 형태로 무상급식 등 사업에 예산지원을 요청하고 시도는 1000억원이 넘는 재원을 고스란히 교육청으로 보내고 있다.
이러한 비효율적 재정지출구조가 지방대 위기와 같은 고등교육 위기를 불러오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OECD가 공개한 `OECD교육지표 2022` 분석결과를 보면 특히, 한국은 초·중등교육에 대한 지출비중은 OECD평균보다 높고 고등교육에 대한 지출은 OECD평균보다 훨씬 낮다.
2019년 기준으로 초등교육에는 1만3341달러를 지출해 OECD평균인 9923달러에 비해 34%나 높고, 중등교육은 1만7078달러로 OECD평균인 1만1400달러보다 50%가까이 높다. 반면, 고등교육은 1만1287달러로 OECD평균인 1만7559달러의 64% 수준에 불과하다.
이철우 도지사는 "지방정부는 고등교육에 투자하고 대학을 혁신해 기업을 불러모으고 일자리를 만드는데 집중해야 한다"며 "도세의 3.6%에 해당하는 교육비특별회계 전출금의 용도를 무상급식까지 확대해 불필요한 갈등의 소지를 없애고 도청과 교육청은 함께 경북을 살리는데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