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최근 날씨가 더워지면서 벌집제거 및 벌 쏘임 사고 관련 119신고가 증가하고 있어 도민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소방본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한해 벌집제거 출동 횟수는 총 1만7738건으로 집계됐다. 이중 6~9월 사이 1만5726건(88.7%)으로 집중돼 있으며, 이는 하루 평균 129회 출동한 수치이다. 또 같은 시기 벌 쏘임 환자도 전체 914명 중 764명(83.6%)이 집중적으로 발생했고, 올해도 지금까지 70여 명이 벌 쏘임으로 구급차를 이용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온은 평년과(21~24℃) 비슷하거나 조금 높고, 7~8월까지 무더위가 이어질 것으로 예측돼 벌들의 활동이 왕성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벌 쏘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산행이나 벌초 등 야외활동 시, 주변에 벌이 날아다니거나 땅속이나 나뭇가지 등에 벌들이 들락거리면 벌집이 있으니 반드시 주의해서 살펴야 한다. 또 벌집을 발견했을 때는 섣불리 제거하거나 벌을 자극하지 말고, 주위를 벗어난 후 119 도움이나 전문가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 다음 야외활동 시에는 흰색이나 노란색 등 밝은색 옷을 입고 모자를 착용하면 더 안전하다. 벌집을 건드렸을 때는 벌을 쫓아내기보다는 그 자리에서 20m 이상 떨어진 곳으로 즉시 대피하여야 한다. 끝으로, 벌에 쏘였다면 침착하게 대처하고 어지럽거나 두통이 올 때는 누워 다리를 들어주는 자세를 취하고, 몸에 이상 반응 시 신속히 119에 신고해야 한다. 또 쏘인 부위에 얼음찜질을 하면 통증과 가려움증이 다소 완화될 수 있으며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면 상태가 호전될 수 있다. 이영팔 경북도 소방본부장은 “무더위로 벌들의 활동이 증가해 도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만큼 벌집을 섣불리 제거하거나 벌을 자극하지 말고, 위협을 느꼈을 경우 신속히 119에 신고해 도움을 요청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색상에 따른 공격성 :검은색>갈색>빨간색>초록색>노란색 순서 ▸공격부위 :머리부위 집중공격 ▸특이사항 : 벌집을 건드린 후 자세를 낮추고 있으면 검은 머리부분을 지속적으로 공격하지만, 빠르게 20m정도를 뛰어가면 대부분의 벌들이 벌집으로 복귀 [자료출처:국립공원관리공단] 󰏅 벌쏘임 예방법 ❍ (후각) 벌을 자극하는 향수, 화장품, 스프레이 종류 자제 ❍ (색상) 밝은색보다 검고 어두운색 계열의 옷에 공격성을 보임 ⇒ 흰색계열의 옷 착용, 소매가 긴 옷을 입어 팔․다리 노출 최소화 ❍ (벌집 발견 시) 자세를 낮춰 천천히 다른 장소로 이동 (벌집 접촉 시) 머리부위를 감싸고 신속하게 20m이상 이탈 ❍ (음료) 벌은 단 성분을 좋아하기 때문에 탄산음료나 달콤한 음료 자제 󰏅 벌쏘임 시 대처법 ❍ (말벌․벌독 알레르기 증상) 속이 메스껍고 울럼거림, 구토, 설사, 어지러움, 전신 두드러기, 쏘인 부분이 심하게 부어오르면서 호흡곤란 ※ 알레르기로 인한 ’과민성 쇼크‘ 발생 가능 ❍ (벌 쏘임 시) 적절한 방법으로 신속히 벌침을 제거하고 쏘인 부위의 감염방지를 위해 소독하거나 깨끗한 물로 씻은 후 얼음주머니 등으로 찜질(통증 감소) ⇒ 말벌의 독성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강하기 때문에 최대한 신속히 119신고 후 1시간 내 병원치료 ※ 벌독에 의한 사망시간은 79%가 벌 쏘임 후 1시간 이내 사망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