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공단지 활성화는 대-중기업 협력으로 대구경북연구원(원장 홍철) 김용현 책임연구원은 지난 7일 `대경 CEO Briefing` 제145호를 통해 `지역 건설경기 회생 방안은 없는가`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건설 및 부동산 경기 침체의 장기화는 생산 및 고용 유발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지방 중소 건설업체 부도 증가, 지역 부동산 매도세 우위에 따른 주택가격 하락 지속 등 지역경제 회복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 따라서 지역 건설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도권과 지방에 대하여 차별화된 부동산 정책을 펴고, 지역 건설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첫째, 규제일변도의 주택정책 기조 변화를 통한 세제개편 등 수도권과 차별화된 지역 맞춤형 부동산 정책 추진과 정부의 산업용 원자재 안정화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건설업 및 부동산 정책에 대한 합리적 기대 형성과 지역 건설업 경영환경 개선이 중요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셋째, 지역의 실수요 증대 방안 모색과 함께 건설업체 스스로 기술혁신과 경영혁신을 통해 원가절감기술을 개발하고, 강도 높은 원가 관리 등 자구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미분양 해결을 위해서는 지역 주택시장에서 주택순환원리에 따른 필터링(filtering)효과 극대화가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어 대구경북연구원 석태문 박사는 지난 13일 `대경 CEO Briefing` 제146호를 통해 `농공단지 활로 모색, 대·중기업과 협력으로`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는데 내용을 다음과 같다. 경북지역에는 2007년 현재 54개소의 농공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입주업체 규모별로는 소기업(83.3%) 위주, 업종별로는 섬유, 잡화, 금속, 전기전자, 화공, 식품기업 순이고, 형태별로는 창업(52.6%) 기업체가 가장 많다. 지역 농공단지는 단지 자체의 한계점을 비롯, 법적·제도적, 운영상에서 많은 문제를 갖고 있다. 취업인력의 고령화, 단지 규모의 영세성, 낮은 동종업종 밀집도, 교통접근성 애로, 사후관리체계 미흡, 연구개발 투자 부족 등이 대표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과제들이다. 지역 농공단지의 활로는 산·학·관과의 협력에서 찾아야 한다. 대·중기업-대학·연구기관-행정-농공단지가 참여하는 `경상북도 농공단지 경쟁력강화 협력단`을 운영하고, 특성화와 기술개발 강화, 취업인력에 대한 재교육 지원, 사후관리 강화 등 전방위적 협력활동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경쟁력 강화대책으로 소규모 인큐베이터 시스템 구축, 단지 주변 인프라 확충, 공공기관 중심의 농공단지 제품 구매, 전시판매장 활성화 등 마케팅 지원활동도 대폭 강화해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