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만 도민들의 오랜 바람이었던 경북도청 이전예정지를 안동-예천으로 결정한 지 채 일주일이 지나지 않아 ‘탈락지역 반발’이라는 난관에 부딪혔다. 평가배점, 평가위원 구성에 인구 상-하한선이 무시되었다는 점, 과열유치행위와 관련한 감점요인을 고려하지 않은 점 등을 지적하며 도청 이전지 결정에 불복할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시-군의 입장에서 보면 지역발전의 대형 호재인 도청유치를 놓고 펼친 경쟁에서 어느 지역으로 결정이 났을지라도 이정도 반발은 당연히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그렇지만 경북도는 이들 지역의 반발을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될 것이다. 반발의 이유로 내세우는 항목들에 대해 신속하고도 성의 있는 답변을 내놓아야 한다.
지난 11일 경북도에서 평가위원들이 작성한 채점 평가표를 신속하게 공개하여 가중치 적용 전 득점현황을 밝히고 결정에 가중치의 영향이 없었음을 설명한 것은 매우 잘한 일이다.
경북도가 지난 9일 도청이전 예정지역을 지정-공고하고, 도청 이전을 위해 꼭 필요한 `경상북도의 사무소의 소재지 변경에 관한 조례 제정안`을 입법예고하면서 도청이전을 위한 또 한번의 결정권은 도의회로 넘어갔다. 하지만 탈락지역 도의원들의 반발로 조례안의 처리가 불투명한 실정이다.
도는 ‘투명한 결정과정’을 말로만이 아닌 과정의 모든 것을 공개해야 마땅하다. 도의원들에게 전체 과정을 알리고 그들이 수긍을 한다면 더 이상의 반발은 있을 수 없다. 그래도 반발이 이어진다면 그것은 ‘땅값 상승’ 등 부당한 이익을 기대한 이들의 ‘황당한 이기주의’에 다름 아니다.
경북과 대구가 분리된 후 27년 만에 제자리를 찾는 일이다. 강산이 세 번 바뀔 동안 300만 도민 누구나가 간절히 바라온 일이다. 경상북도의 진정한 지방자치를 실현하는 전환점의 시작이다. 300만 도민이 화합과 축복 속에 ‘미래 경북’의 청사진을 함께 꿈꿀 시간이다. 그 꿈을 깨버리고 과거의 모습으로 돌아갈지, 아니면 희망을 안고 미래로 다가갈지 이 선택은 경북도민들의 몫이다./경북지역신문 연합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