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프로젝트…학습-문화 중심으로 특성화 경북도가 추진하고 있는 `낙동강 프로젝트`에 따르면 칠곡·성주·고령 등은 학습과 문화를 중심으로 한 `도심레저권`으로 특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사업비가 2020년까지 총2조130억원이 소요될 `낙동강 프로젝트` 연구용역을 맡은 국토연구원은 지난 13일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에서 낙동강 본류 10개 시-군과 지류 5개 시-군을 대상으로 3개 권역으로 구분했다. 봉화·영양·안동·영주·청송 등은 청정자원과 전통문화 자원을 활용한 `산악 생태권`, 예천·의성·문경·상주 일대는 체험과 휴양으로 특화된 `역사문화체험권`, 구미·군위·김천·칠곡·성주·고령 등은 학습과 문화를 중심으로 한 `도심레저권`으로 특성화했다. 국토연구원은 우선 낙동강 전 구간에 총289㎞ 범위의 `회랑형 에코트레일` 설치, 낙동강 연안을 자전거와 조깅은 물론, 마라톤과 승마 등 국민 레포츠의 메카로 만들 계획이다. 진입공간과 휴게공간에는 특산물 판매장, 소규모 야외공연장 등을 조성해 지역경제 활성화도 도모한다는 것이다. 연구원은 또 지역의 부족한 비즈니스 공간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각권역별 중심지구에 `에코 컬처센터`를 건립, 자연생태 및 역사문화 자원을 관광으로 연결시키는 동시에 컨벤션 기능 등도 부여할 예정이다. 연구원측은 낙동강 프로젝트 사업은 직접적 사업비 투자로 2조9천914억원의 생산유발, 1조194억원의 임금유발, 1조2천941억원의 부가가치유발 등 효과가 발생하고, 2만9천330개의 일자리 창출과 함께 사업비 투자와는 별개로 관광객 지출액에 의한 생산유발효과도 8조8천426억원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