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은 우선 시간적으로 일정한 시기를 지난 것을 말한다. 하지만 오래된 것이라고 다 고전이 되는 것은 아니다. 진정한 의미의 고전이 되려면 현재의 비평가들이나 향유자들에게 잊히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고전은 `현재적`인 것이며 우리 곁에 생생하게 현전하는 것으로 후세에 전범이 될 만한 것을 말한다. `고전`이라는 말은 본래 사회 계급을 가리키는 말이었다.`클래식`이라는 영어는 라틴어 `클라시쿠스`에서 갈라져 나왔다. 이 라틴어는 고대 사회에서 첫 번째 사회 계급, 그러니까 최상층 계급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그 뒤 이 말은 `모범적`이거나 `최고 수준의` 작품을 뜻하는 말로 쓰이기 시작했다. 고전 문학이라고 하면 멀게는 옛 그리스 시대나 로마 시대, 가깝게는 근대 이전의 뛰어난 작품을 가리킨다. 동양에서도 고전을 규정하는 것은 이와 다르지 않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의 고전 중 가장 독특한 문체를 쓴 `연암 박지원을 읽다`로 글쓰기에서 생명이라고 할 수 있는 세밀 묘사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연암 박지원이라고 하면 문체반정(文體反正;정조 임금 당시 유행하던 소설적 문체를 타락한 문풍이라 비판하고 이를 바로 잡는다는 명목아래《열하일기》를 타락한 문체로 지목해 엄중 문책한 일)과 법고창신(法古創新;옛 것을 법도로 삼고 새로운 것을 창조한다는 뜻. 연암이 사용한 말이며, 연암사상의 가장 큰 핵심이다)이란 말이 떠오를 것이다. 연암이 말한 `법고창신론`은 법고 하되 형편과 상황에 맞게 재창조를 하라는 말이다. 그 당시 연암이 글을 쓸 때 얼마나 창신에 신경을 썼는지는 그의 문체를 보면 안다. 그의 문체는 당시로 봤을 때 참신(斬新)하다 못해 눈이 휘둥그레질 정도로 혁신적인 문체였다. 나라의 임금까지도 걱정할 정도였으니까 말이다. 그의 문체는 지금 읽어도 구시대적이거나 어색함이 전혀 없다. 열하일기 중에 라는 작품에서 코끼리를 어찌나 세밀히 묘사했는지 눈앞에 코끼리 한 마리가 긴 코를 꾸물거리며 서 있는 듯하다. 그의 글을 읽다보면 톡톡 튀는 표현법에 웃음이 절로 나온다. "코가 어금니보다 더 길어서 구부리고 펴는 것은 자벌레만 같고, 두르르 말고 굽히는 것은 굼벵이 같다. 그 끝은 누에 꽁무늬처럼 생겼는데, 마치 족집게처럼 물건을 끼워가지고는 말아서 입에 넣는다." -《비슷한 것은 가짜다》정민, 태학사- 연암은 이글을 통해 획일화된 가치 척도로 세계를 규정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거부의 뜻을 담아내고 있다. 지면 관계상 작품의 내용은 다 다룰 수가 없고, 다만 연암의 문체를 통해 글쓰기의 기본바탕이 되는 세부 묘사와 창의적 표현방법에 대해서만 간단히 알아보았다. 다음 호에서는 연암의 독서법을 통하여 우리가 어떻게 독서를 하는 것이 올바른 독서법인지 알아보려고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