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이란 무엇인가요? ◦ 병원성 미생물 또는 독성물질에 오염된 물이나 식품 섭취로 인해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위장관 증상이 주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Q2.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의 종류는 주로 어떤 것이 있는가요? ◦ 1군감염병으로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파라티푸스,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A형간염이 있습니다. ◦ 또한, 지정감염병인 장관감염증으로 아래와 같은 감염병들이 있습니다. -세균:살모넬라균 감염증, 장염비브리오균 감염증, 장독소성대장균(ETEC) 감염증, 장침습성대장균(EIEC) 감염증, 장병원성대장균(EPEC) 감염증,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감염증,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바실루스 세레우스균 감염증,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감염증,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감염증. -바이러스: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아스트로바이러스 감염증,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사포바이러스 감염증. -원충:이질아메바 감염증, 람블편모충 감염증, 작은와포자충 감염증, 원포자충 감염증. Q3.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은 주로 오염된 물과 음식물을 섭취하여 감염되게 됩니다. ◦ 환자, 무증상보균자의 배설물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 또는 환자가 직접 조리한 음식에 의해서도 전파될 수 있습니다. ◦ 또한, 파리와 같은 위생곤충에 의해 오염물로부터 다른 음식물로 세균이 전파되기도 합니다. ◦ 특히, 1군 감염병인 장티푸스의 경우 무증상보균자가 부주의하게 다룬 음식에 의해 옮겨질 수도 있으며, 세균성이질의 경우 매우 적은 양의 세균으로도 감염될 수 있어 환자나 병원체보유자와의 접촉하지 않아야 합니다. Q4.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의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2. 물은 끓여 마시기.(끓일 수 없을 때는 생수, 탄산수 등 병에 포장된 음료수마시기) 3. 음식 익혀먹기.(중심온도 75℃(특히, 어패류는 85℃)로 1분 이상 익혀먹기) 4. 채소, 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 벗겨 먹기. 5. 위생적으로 조리하기.(칼, 도마 조리 후 소독, 생선, 고기, 채소 등 도마 분리사용 등) 6. 설사증상이 있는 경우 조리하지 않기. Q5.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집단 발생은 몇 명 기준이고 어떻게 신고해야 하나요? ◦ 같은 장소에서 음식물을 섭취한 사람들 중 2명 이상이 위장관 증상(구토, 설사, 복통 등)이 발생한 경우에 가까운 보건소 즉시 신고합니다. Q6.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집단 발생신고는 의료인이 반드시 해야 하나요? ◦ 감염병환자신고와는 별개로 신고되는 사항으로 반드시 의료인이 신고하지 않아도 됩니다. - 발생한 식당업주, 증상발현자, 또는 집단 발생한 경우를 목격한 경우 등 누구나 보건소로 신고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