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고등학교 및 전공과를 졸업한 장애학생들의 진학률과 취업률이 낮은 상태로 정체되어 있으며 특히 비진학·미취업자 학생 비율이 2017년 44.4% 높게 나타났다. 취업되는 직종에 있어서도 대부분 제품제조, 식음료서비스, 청소세탁 등 단순노무직이 대부분으로 고용의 질에 있어서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북도교육청(교육감 임종식)에서는 이러한 한계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사회 내 일자리 수요가 있는 산업체 현장에서 장애인 취업을 목표로 한국장애인개발원(직업재활 전문기관)과 연계하여 현장중심 맞춤형 일자리 및 취업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사업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9월 14일 경북교육청과 한국장애인개발원 수행기관인 장애인복지관(포항, 김천, 안동, 경산)과 장애학생 원스톱 지원 협의체를 구성하였다. 장애학생 원스톱 취업지원 상설 협의체는 다음과 같이 역할을 분담하여 장애학생 맞춤형 일자리 및 취업지원을 지원한다. 사업 운영은 사업 수행 기관이 맞춤형 일자리 및 취업지원 사업을 신청한 고3 및 전공과 학생 90명을 대상으로 사전교육(인권교육 등), 직업상담, 직업평가, 직업재활계획 수립을 한 후 사업체 현장에 배치하여 집합훈련 주1일, 현장훈련 주4일 직업훈련을 4개월 동안 실시하고 있다. 또한, 장애학생들의 안전하고 원활한 직업훈련을 위해 전문 직무지도원 1인당 3~4명씩 전담하여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 김덕희 정책과장은 “산업체 현장 중심의 직업훈련을 통해 장애학생 진로의 다양화 및 취업률을 향상시키고 학교와 직업재활 전문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진로·직업교육 체계를 지속적으로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