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만두고 처음에 놀 땐 좋았는데 시간이 좀 지나니 막상 무얼 해야 할 지 막막했습니다. 뭘 할 수 있는지 알려주지도 않았구요.” “집 나오면 고생이죠. 먹고 자는 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저는 쉼터를 알게 되서 그나마 다행이죠.” 지난해 교육부와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이같은 사례에 따르면 이들은 무계획적인 학업중단과 정보 부족으로 학교 밖 생활 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우리 사회에는 매년 6만여명의 학업중단 학생이 발생하고 있고, 경상북도에서도 매년 2,600여명의 학생이 학업을 중단하고 있다. 경북도는 2월 11일 오후 2시 도청 1회의실에서 도교육청, 도경찰청과 3자간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지원을 위한 업무 협약식`을 개최했다. 학업 중단 청소년들은 구체적인 계획과 정보없이 학업을 중단하고 학교 밖 생활을 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1년 이내 보호관찰을 받는 비율은 10.8%, 청소년 범죄연루 비율이 43%에 이르는 등 앞으로 사회적 문제와 비용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어 경상북도가 적극 대응에 나선 것이다. 학업중단 학생 1인당 약 1억원의 사회적 비용이 발생(2010년 한국교육개발원)한다. 경상북도는 지난해 가출 및 학업중단 청소년 보호지원 조례를 제정하고, 도 교육청, 경찰청과 수차례 실무협의를 거쳐 지원합의를 이끌어 냈으며, 최종적으로 사업추진을 위한 예산을 연말에 확보해 사업추진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이번 MOU체결을 통해 도 교육청은 개인정보제공에 동의하는 학생들의 명단을 경북도로 전달 각종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도 경찰청에서는 청소년들의 범죄연루 예방에 적극 나서 학업중단 청소년들이 자신의 꿈과 끼를 다시 펼칠 수 있는 희망의 길이 열리게 된 셈이다. 지원내용은 상담을 통해 △학업에 복귀하고자 하는 청소년에 대해서는 검정고시, 대안학교 소개, 복교절차 등을 지원․안내하고, △사회진출을 원하는 청소년에게는 자격․기술 취득을 위한 직업훈련비를 지원한다. 특히, 기초 및 차상위계층 청소년에게는 검정고시와 직업훈련 교육비를 지원하며, 각각의 지원 후에도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실시 청소년들이 성공적으로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최대한 도울 계획이다. 또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수요를 파악 맞춤형 지원을 해 그들의 잃어 버렸던 꿈을 다시 펼칠 수 있게 한 것이 이 사업의 또 다른 특징이다. 경상북도는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우선, 학교별 사업설명회, 언론보도 등 홍보를 강화해 학업을 중단한 학교 밖 위기청소년들의 프로그램 참여율을 높이고, 지속적 상담을 실시 사례관리 지속성을 강화하고, 멘토지원단, 실무협의회 개최 등을 통해 사업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킬 계획이다. 김관용 도지사는 “우리 사회는 청소년들이 위기에 처했을 때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제2, 제3의 기회를 계속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 지방차원에서 선도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인 만큼 유관기관과의 체계적인 협력을 통해 경북형 선도모델로 정착시키겠다”고 밝혔다. 필요한 지원 내용 혹은 필요한 정책(2013년 교육부, 여성가족부) ▶생활비(47.6%) > 검정고시 준비(45.6%) > 직업훈련(29.9%) > 진로상담(28.8%) > 직업소개(23.5%) ▶상담지원(22.4%) > 진로지도(20%) > 조기발견(18.4%)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