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사람들의 옷은 바지저고리 위에 두루마기 또는 도포차림이었습니다. 그런데 이에 신는 신들은 무엇이었을까요? 백성과 검소한 선비는 짚신을 주로 신었습니다. 그러나 양반들은 갖바치(가죽장인)들이 보통 가죽으로 만드는 갖신을 신었는데 갖신은 우선 그 형태에 따라 발목이 보이는 이(履)와 발목 위까지 올라오는 화(靴)로 나뉩니다. 특히 비단이나 가죽으로 만든 고급 신인 혜(鞋)를 신는 것이 보통이었지요. 혜(鞋)는 무늬에 따라 코와 뒤축 부분에 흰 줄무늬를 새긴 태사혜(太史鞋)가 있는데 이는 남자들이 주로 신던 신입니다. 그리고 여자신으로는 앞코에 구름무늬를 놓은 운혜(雲鞋), 코와 뒤꿈치에 당초무늬를 넣은 당혜(唐鞋)가 있으며, 검정빛 융으로 만든 흑혜(黑鞋) 따위가 있습니다. 그런데 마른 땅에서는 이런 태사혜, 흑혜, 운혜, 당혜를 신었지만, 진땅에서는 물이 스며들지 않게 들기름에 절은 가죽으로 만든 진신을 신었지요. 한편, 사슴 가죽으로 만든 녹피혜(鹿皮鞋)와 궁중용 신인 궁혜(宮鞋)는 아무나 신을 수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최근 어떤 이들은 한복에 고무신 차림으로 다니기도 하고, 일부는 고무신이 한복 차림에 기본인 듯 말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고무신은 일제강점기 일본을 통해서 들어온 것이고 조선시대에 신었던 것은 아닙니다. 또 어떤 이들은 한복에 운동화를 신기도 하는데 이는 전혀 어울리지 않습니다. 옛 속담에 “개발에 편자”라는 것이 있습니다. `편자`는 험한 곳을 달리는 말의 발바닥에 붙이는 쇠붙이여서 당연히 개의 발에는 쓸모가 없고 걸음걸이만 불편하게 하는 물건이지요. 따라서 한복을 입을 때는 “개발에 편자” 꼴이 되지 말고 시중에 태사혜에 뒷굽을 붙여 나오는 갖신이 있으니 그걸 신으면 될 겁니다./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