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우(土偶)란 흙으로 만든 인형이라는 뜻으로 어떤 형태나 동물을 본떠서 만든 토기를 말합니다. 토우는 예전에 주술적 의미, 무덤에 주검과 함께 넣는 껴묻거리(부장품)용으로 만들었습니다. 토우의 재료는 흙뿐 아니라 동물의 뼈나 뿔, 나무들로 만든 것도 있고, 짚이나 풀로도 만들기도 하지만, 많은 수가 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토우라는 말로 표현하지요. 이러한 토우들은 생산, 풍요, 귀신을 물리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는 국보 제195호 는 2점인데 계림로 30호 무덤 출토 목항아리는 높이 34㎝, 아가리 지름 22.4㎝이고, 노동동 11호 무덤 출토 목항아리는 높이 40.5㎝, 아가리 지름 25.5㎝입니다. 아쉽게도 이 항아리의 주둥이 부분이 깨져 조각이 달아나기도 했지만 이 단순한 항아리는 사람들의 인기를 독차지 하고 있다고 하지요. 그 까닭은 바로 항아리 목 주변에 붙어 있는 사실적인 모습의 토우(土偶)들 때문입니다. 토우들은 토끼와 뱀 그리고 배부른 임산부가 가야금을 타는 모양은 물론 남녀가 성교하는 모양까지 장식되어 있지요. 솔직하고 대담한 표현과 소박하고 익살스런 모습 따위가 서툴고 단순한 듯 하지만 토우에 집약된 상징성은 신라인들의 삶과 철학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으며, 생명에 대한 솔직한 감정과 생활상이 조형적으로 잘 표현되어 있다는 평을 받습니다.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