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해양수산부 신설과 신도청 시대 개막 등 행정환경 변화와 미래 바다시대에 대비한 동해안 新발전전략 추진을 위해 지난 7월 11일부터 운영 중인 ‘동해안발전기획단’(과)을 국으로 승격 확대하는 `동해안발전추진단`(3급) 설치계획안이 지난 24일 경상북도의회 제265회 임시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31일부터 공포-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도가 지난 9월 5일 동해안권 3개 시・도지사와 해양수산부 장관이 포항에서 선포한 신동해안 상생발전 공동선언에 발맞추어 그동안 준비해온 해양물류, 관광・에너지, 해양자원개발과 첨단과학 R&D 사업을 확충하는 등 바다에서 도민들의 꿈과 행복을 실현하기 위한 `동해안발전추진단`이 공식 출범한다.
그리고 동해안발전 전략에 대한 집중지원 체계 확립을 위해 농수산국과 환경해양산림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독도영토주권 강화 및 수산업의 미래화, 항만특화 개발 등의 일부업무 기능을 동해안발전추진단으로 조정하고 국 명칭도 농축산국과 환경산림국으로 각각 변경했다.
또한 이스탄불-경주세계문화엑스포2013 성과의 계승․발전을 위한 포스트 이스탄불엑스포, 실크로드 재조명․기록 및 해양실크 프로젝트 추진 등을 위해 ‘문화교류협력과’도 설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북도 주낙영 행정부지사는 “이번 동해안발전추진단 신설을 통해 동해안의 풍부한 해양자원을 기반으로 해양과학 거점 및 해양자원 산업벨트를 조성하고 수산업을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으로 육성하는 한편 동해안 천혜의 수려한 산과 계곡, 바다를 연계한 신해양 체험문화 관광지를 조성하여 국민 모두가 함께 즐기는 해양융복합 관광산업을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주부지사는 또 "이번 동해안발전추진단 설치를 계기로 북극항로 개척을 위한 정부정책에 적극 동참하여 동해안을 환동해 거점항만으로 특화하고, 물류와 인력, 정보가 흐르는 국제물류 비즈니스거점을 마련해 글로벌 해양경제영토 개척에도 앞장설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