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군 동명면 이장협의회(회장 전호복)와 동명면 농업경영인회(회장 이종규), 동명면 9개단체 청년회(회장 홍영태) 등 동명지역 6개단체는 지난 13일 청와대와 국회, 대구시, 경북도, 칠곡군 등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 대구시 편입을 요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했다.
이들 동명주민은 탄원서를 통해 "2012년 6월 대통령 소속 지방행정체제개편추진위원회가 칠곡군과 구미시 통합안을 제출한 이후 찬반 논란이 지속하고 있다"며 "주민생활권 보장이 행정개편의 목적인 만큼 동명면은 구미와 통합되는 대신 생활권이 일치하는 대구로 편입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명면 전체주민의 절반이상인 3120명의 서명을 받아 제출한 탄원서에서 이들은 "동명면은 대구시 때문에 대부분 지역이 그린벨트로 묶여 있어 재산권이 제한됐고 대구광역시립묘지 조성으로 엄청난 불이익을 겪었다"며 "동명면을 대구에 편입해 지난 수십년 동안 피해를 본 주민이 최소한 생활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번 탄원을 시작으로 내년 6·4지방선거 등 열린 공간을 통해 자신들의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행동을 함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동명면이 대구광역시로 통합돼야 하는 이유이다.
-행정개편의 목적과 판단의 최우선 기준은 주민생활권 보장이다. 따라서 지형적, 지리적, 문화 역사적 이유에서 대구와 생활권이 일치하는 동명면은 당연히 대구광역시로 편입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은 1994년도 내무부 행정구역 경계조정안에 “대구생활권을 이유로 한 동명면과 지천면의 대구광역시 편입안”이 포함된 것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더구나 20여년이 지난 지금은 대구광역시의 확장(대구시 북구 강북지역)으로 생활권 밀착현상은 더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동명면은 대구광역시로 인하여 대부분 지역이 그린벨트로 묶여있어 재산권을 제한받아왔고 대구광역시립 묘지 조성으로 인하여 엄청난 불이익을 겪어왔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보더라도 동명면을 대구광역시에 편입시킴으로써 지난 수십년 동안 피해를 받아온 주민들이 최소한의 생활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할 것이다.
다시한번 우리는 행정편의가 아니라 주민생활권을 우선기준으로 판단하여 동명면을 대구광역시에 편입 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바이다.
동명면 주민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