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이 보약’이라고는 하지만 무더운 날씨 때문에 숙면을 취하는 게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더위를 좀 이겨보겠다고 선풍기를 틀자니 머리가 아프고 에어컨을 틀자니 전기세가 만만치 않다. 결국 열대야로 인한 불면증으로 인해 생활리듬이 깨지고 집중력 등이 흐트러지는 등 몸 이곳저곳에서 삐걱대기 시작한다. ▶한여름 숙면을 방해하는 열대야 낮 기온이 30도가 넘고 밤 기온이 25도 이상인 열대야 때는 고온이 체내의 온도조절 중추를 흥분시켜 일종의 각성상태를 만들어버린다. 즉 숙면을 취하기 좋은 18~20도의 범위에서 벗어나게 돼 인체가 기온에 적응하려고 지속적인 각성상태를 유지하다보니 쉽게 잠이 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때 겨울과 달리 여름에 유독 잠을 이루지 못하는 이유는 겨울철에는 난방 기구로 실내 온도를 쉽게 유지할 수 있는 반면 여름철에는 에어컨 등이 구비되지 않는 이상 실내 온도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열대야를 이겨내는 방법 매년 반복되는 열대야로 인해 불면증 또한 반복되기 일쑤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카페인이나 알코올이 함유된 음료의 섭취는 삼가고 일정한 시간에 기상 및 취침을 해야 하며 낮잠을 30분 이상 자지 않는 게 좋다. 또한 잠이 잘 오지 않는다고 잠자리에 누워있기보다는 잠자리를 벗어나 가벼운 독서 등을 하는 게 낫다. 특히 침실의 온도를 잠을 자는 데 적절하고 쾌적하게 하되 선풍기를 틀 경우 저체온증이 나타나지 않도록 가급적 몸에서 멀리 떼어 놓고 1~2시간 정도 타이머를 맞춰둔다. 잠자기 2시간 전에는 지나치게 심한 운동은 삼가고 운동은 이른 저녁 시간에 하는 것이 좋다. 잠자리에 들기 전 미지근한 물로 샤워를 하고 우유를 한 잔 먹어 공복감을 없애는 것도 수면에 도움이 된다. 대부분 열대야 현상은 연속 10일을 넘기지 않는 편이므로 이 기간 동안 충분한 영양섭취와 최적의 수면환경을 유지해 신체 피로를 줄여 나가는 지혜가 필요하다. 한국건강관리협회 대구북부건강검진센터는 시도민의 올바른 영양관리와 규칙적인 운동으로 인한 건강관리를 위하여 열린건강생활실천상담실을 오후 2시~4시까지 상시 개방하며, 지역주민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 하여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에 다양한 노력을 다하고 있다./한국건강관리협회 경북(대구북부검진센터)지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