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은 한민족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노랫가락이다. 저 멀리 러시아 연해주에서 살다가 스탈린에 의해 강제로 카자흐스탄 등지에 흩어져 살던 한민족들의 애절한 삶속에서도 아리랑은 잊지 않고 부르고 있으며, 자의든 타의든 고국을 떠나 저 멀리 흩어져 살고 있는 한민족들의 가슴속에 응어리져 있는 한을 아리랑으로 달래곤 했었다.
중국이 자국의 국가무형문화유산에 `아리랑`을 우리보다 먼저 등록한 어려움 속에서 우리 아리랑은 진도, 정선, 밀양 등 지역 마다 다른 음, 다른 내용을 담고 있지만 민족 정서를 가장 잘 표현한 우리 가락 `아리랑` 이 아리랑이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 되었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보존할 가치가 있는 세계적인 문화, 지난 1992년 등재를 시작해 세계적으로 86개국 232건만 지정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2001년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이 처음으로 지정된 이후 2009년에는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처용무`가, 2011년에는 무예 `택견`과 `한산모시짜기`가 추가돼 모두 14점이 인류문화유산으로 꼽혔다.
15번 째로 선정된 `아리랑`은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라는 후렴구와 가사로 이뤄진 민요다. 유네스코도 아리랑이 세대를 거쳐 계속 재창조되고, 한국민의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높이 샀다.
그러나 정작 아리랑의 어원은 오리무중이다 지금까지 인명인 “알영(閼英), 아랑(阿娘)” 설, 특정의 고개 이름인 “아라” (자비령)설, 보통 명사인 “아라령” 설 여진어 “아린”(취락지)설, 한자로 해석한 아리랑(我離娘)설, 여음 (餘音)인 “알리얄리”설, 무의미한 여음설, “알다(知)” 설 등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여러 가지 해석은 결국 “아리랑” 본뜻을 알기가 쉽지 않음을 알게 하고 있다.
신화에서 아리랑은 알(卵)에다 선택받은 젊은이를 일컫는 랑(郞) 결합된 말로, 하늘이 내린 영웅적인 인물을 가리킨다. 아리랑의 도상은 알이라고 한다. 박혁거세와 고주몽, 김알지, 김수로 등은 모두 태양의 아들이다
따라서 이들의 명칭도 “아리랑으로 부를 수 있다. 알은 시원(始原)이고 전부이며, 완전함을 상징한다.
아리랑은 닫힌 사회의 해원(解怨) 또는 해한(解限)의 노래이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이 병이 날 것이라는 한맺힌 응어리가 사설에 나타나 있다.
세상살이 중에 사랑하고 이별하고 죽음에 이르는 과정에서 만나는 임은, 화자(話者)에게는 감정 표출의 대상이다. 따라서 그 임에 대해 응어리지고 매듭진 안달의 한을 푸는 노래부르기가 아리랑의 구연(口演)이다. 마음에 앙금진 수심(愁心)이 밤 하늘의 별보다 많다고 했다. 이를 자연스럽게 여과하는 한풀이가 아리랑이다.
아리랑은 지역 민요의 음악적 문법의 기충성(基層性)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 하고 있다. 정선과 진도, 밀양의 3대 아리랑을 전통 민요 아리랑으로 규정 할 때 이들은 계승자의 생활 공간인 삶의 현장과 밀착되었고, 그 풍토의 원형성을 고스란히 간직하였다.
따라서 아리랑의 전승과 연행에는 토착성과 지역적인 생활성, 민간 전승다운 전통성, 그리고 주어진 지역 사람들의 보편성이라는 속성이 반영되어 땅의 소리, 흙의 소리,로서 애국가, 이상의 역할을 한다. 소리로서의 아리랑은 밭과 논, 강과 산에서 부른 일노래이며, 삶과 죽음을 넘나들며 부르던 굿노래이다. 또 놀이판에서 부르던 노래이기도 하다.
소박한 주관의 서정은 흙의 소리로서 아리랑이 지녔던 시 정신이 다. 아리랑에 하늘, 땅, 사람의 삼재(三才)를 소리로 집약해 표현한 민족이었다. 아리랑은 전통민요이며, 우리 민족의 상징적 소리로 자리잡아왔다.
아리랑에 대한 우리의 사고는 문화적 독자성과 민족적 동질성을 지탱하는 이른바 초역사적 소리라는 데에 그 위상을 찾을 수 있다. 아리랑은 구슬과 암송에 의한 전승, 자연적 습득 등과 같은 민속성 외에 공동체 집단의 소산이라는 민족사의 상징적 구비 전승물이라는 데서 민족혼의 대명사이다.
그러기에 유네스코에서 인류문화유산으로 지정하지 않았는가 ?
아리랑의 발원지 흔히 강원도 정선이라 한다. 그래서 정선 아라리는 아리랑의 탯줄로 규정된다. 강원도에만 약 500종의 아리랑이 전승되고, 밀양, 진도, 부산,원산 등의 아리랑에 정선 아라리의 사설이 접합되어 있는 데서 그 발원지설이 입증되고 있다.
고려의 망국한을 읊었다는 정선 아라리는 연정가, 향일가,로 때로는 소망가로 확장되면서 우리 소리의 원형으로 자리잡았다. 아라리와 고려속요의 후렴설도 고려시대의 불교영향이라는 견해가 있다.
아라리(阿喇利)또는 아뢰야(阿賴耶)와 관련된다는 것이다. 산스크리트로 아라리는 “세상살이의 무인지경에서 고통과 갈등을 극복해야 한다” 뜻이다.
2008년 북경 올림픽때에 남북 단일팀은 한반도기를 흔들고 모두가 혼연일체가 되어 아리랑을 불렀다.
남북으로 갈라져 있지만 이때 만큼은 모두가 한마음 한뜻으로 아리랑을 열창했었는데, 그때 그 감정으로 북의 김정은이 한민족이라는 공동체 정신을 가지고 통일이 될 때를 생각해서라도 평화스러운 되찾아 한민족을 사랑하는 아리랑을 함께 부를 수 있는 마음으로, 우리는 한미족이라는 정신을 살리고 남.북인 모두가 손에 손을 잡고, 아리랑을 다시 한번 부르게 되기를 간절한 소망을 가져 본다.
장영도 옛생활문화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