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1지방선거를 앞두고 누가 칠곡군수 후보 공천을 받는다는 소문이 나돌고 있는 가운데 일부 유권자들은 아직 확정되지도 않은 공천자에게 현혹되는 등 벌써부터 과열 양상을 부추기고 있다.
국민의힘 칠곡군수 후보 공천은 제20대 대통령 선거일인 내년 3월 9일 이후인 내년 4월말~5월초 사이에 이뤄질 전망이다.
후보자들간 경선을 할 경우 경선 방식 등은 그때 가서 결정된다. 국민의힘 경북도당 공천관리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절차가 남아 있는데 벌써부터 특정 후보가 공천을 받는다고 단정짓는 것은 허위사실 유포에 해당된다.
칠곡지역의 경우 지방선거 본선에 돌입하기 전에 국민의힘 공천을 받으면 당선이 거의 확실하기 때문에 저마다 공천에 목을 매고 있는 실정이다. 일각에서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꽃인 지방선거 본선은 공천자를 당선자로 이름짓는 절차에 불과해 본선거운동과 본선거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무용론까지 주장하고 나왔다.
특히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공천=당선이란 등식이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따라다니는 만큼 국민의힘 공천이 대세다. 그러나 국민의힘 공천만 받으면 당선이 확실시되는 정당공천제 하에서는 정작 유권자와 주민들이 투표를 하기전에 꼭 알아야 할 후보자의 능력은 물론 참신한 공약과 지역발전 방안 등은 무시되기 쉽다. 후보자가 어떤 정치적 성향을 가지고 있고, 어떤 가치관을 가졌는지도 모르고 공천자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그 후보에게 표를 몰아주어 칠곡군수를 뽑는다는 것은 누가봐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내년 지방선거에 관심이 있는 칠곡지역 대다수 유권자들도 국민의힘 공천을 누가 받느냐에만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 후보자의 능력이나 어떤 인물인지에 대해서는 크게 알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칠곡군수는 연간 5437억원의 예산을 편성·집행하고, 군민의 머슴인 800여명의 칠곡군 공무원 인사권과 각종 인·허가권을 행사한다. 이같은 칠곡군의 수장을 뽑는 지방선거에서 가장 중요한 후보자의 출마동기와 공약 등을 검증도 하지 않고 공천자에게 무조건 표를 던지는 `묻지마 투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민선 지방자치는 주민들 손으로 직접 뽑은 자치단체장이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지역발전과 주민복지를 지역실정에 맞게 최대한 자율적으로 행정을 수행하는 제도다. 후보자 개개인에 대한 역량을 주도면밀하게 평가하지 않고 공천자에게 무조건 투표하는 것은 중앙정부에서 결정되어 내려오는 관선시대 `낙하산식` 임명직 칠곡군수와 무엇이 다른가?
물론 공천자는 공천하는 정당에서 후보자의 당에 대한 기여도와 참신성, 자질, 능력 등을 검증하는 절차를 거쳐 결정하는 만큼 당원과 유권자들이 그 공천자를 믿고 지지할 수 있다. 그렇다면 공천과정도 투명하고 공정해야 한다. 그래야만 유권자들이 공천자와 공천권을 행사하는 정당을 신뢰하고 따를 수 있다.
그러나 역대 지방선거에서 특정지역 유력한 정당이 공천할 때마다 제기되는 `밀실공천`이나 야합에 의한 공천은 내년 6·1지방선거에서는 아예 거론조차 되지 않도록 현명한 유권자들이 이를 철저히 감시해야 할 것이다.
벌써부터 칠곡군에서는 지역 토착세력를 중심으로 특정 후보가 공천을 받는다는 소문을 퍼뜨리며 해당 후보(출마예상자)의 인지도 상승을 위해 조직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성원 대표기자 newsir@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