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어린이집·유치원·초등학교 개학이 4월 6일까지 재연장되면서, 아이들의 `돌봄공백` 장기화에 한계에 부닥친 맞벌이 부부 등이 진퇴양난에 빠졌다.
대다수 학부모들은 집단감염이 두려워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에 아이를 선뜻 보내기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일부 학부모는 심지어 개학을 해도 자녀를 학교에 보낼지 깊은 시름에 빠졌다. 4학년 초등학생을 둔 학모 장모 씨는 "개학이 연장된 지금 상황에서는 개학을 해도 아이를 학교에 보내고 싶지 않다"며 "물론 개학을 해봐야 그 때 판단할 일이지만 코로나가 무서운 만큼 개학도 두렵다"고 토로했다.
장 씨처럼 아이를 집에 키우는 전업주부는 그래도 형편이 낫다. 당장 선택의 여지가 없는 맞벌이 가정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잇따른 개학 연기로 시어른이나 친정집, 주변 지인들한테 맡기는 것도 한계가 있고, 당장 직장을 그만둘 수도 없기 때문이다.
교육부가 지난 6∼9일 벌인 `긴급돌봄` 3차 수요조사에서는 초등학생 272만1484명 가운데 2.2%인 6만490명의 학부모만이 긴급돌봄을 신청했다. 전국 초등학생 100명당 2.2명꼴로 신청했고, 코로나19 확진자가 집중된 대구·경북지역 신청률은 각각 0.4%와 0.9%에 그쳤다.
칠곡지역 초등학교(전체 학생수 7116명) 신청현황을 보면 ▶1차 6개교 20명(0.28%) ▶2차 7개교 29명(0.4%) ▶3차 9개교 39명(0.54%)으로 소폭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전교조 대전지부는 지난 18일 논평에서 "긴급돌봄에 대한 명확한 지침과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전교조 대전지부는 "지난 9일 3차 수요조사 결과 대전은 유치원의 경우 12.0%, 초등학교는 2.2%에 머물렀다"며 "이렇게 긴급 돌봄 수요가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돌봄 전담인력을 돌봄전담사 등으로 일원화하지 않다 보니, 돌봄에 참여하는 아동의 입장에서 볼 때 접촉자가 많아져 감염의 위험이 커지고 프로그램도 부실해질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유·초등 교사들은 돌봄이 교사 본연의 임무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사회적 재난 극복에 동참한다는 사명감으로 돌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며 "하지만 전교조 설문조사 결과, 돌봄 참여 교사에게 돌봄수당을 지급했거나 지급할 계획인 학교는 6%에 그쳤다. 교사가 금전적 대가를 바라고 일하는 건 아니지만 강원, 광주, 충남, 경북 등 돌봄수당을 지급하는 타 시도교육청과 형평성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성원 편집국장 newsir@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