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 소멸위험 지수가 전국 17개 광역단체 중 전남도에 이어 두번째로 나타나 경북도가 대책마련에 나섰다. 현 추세라면 연말쯤 소멸위험 진입 단계에 들어설 가능성이 높다.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이 최근 발표한 ‘2019 한국의 지방소멸위험 지수 및 대응전략’에 따르면 경북의 소멸위험 지수는 지난 10월 기준 0.5이다. 지난해 0.55보다 더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멸위험 지수는 주민등록 인구 통계를 바탕으로 특정 지역의 20~39세 여성 인구수를 해당 지역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이다. 소멸위험 지수가 1.0 미만이면 ‘소멸주의’, 0.5 미만이면 ‘소멸위험 진입’, 0.2 미만이면 ‘소멸고위험’으로 분류한다. 경북도 23개 시·군 가운데 소멸위험 지수가 1.5 이상인 곳은 구미시(1.586)가 유일했다. 경산(0.773), 칠곡(0.772), 포항(0.678)을 제외한 나머지 19개 시·군은 0.5 미만으로 소멸위험과 소멸고위험 지역에 속했다. 도내 0.2 미만의 소멸고위험 지역은 7곳이다. 군위·의성이 각각 0.143으로 전국에서 가장 심각한 상태다. 소멸고위험 지수를 보면 청송이 0.166, 영양 0.173, 청도 0.174, 봉화 0.177, 영덕이 0.183으로 나타났다. 전국 소멸고위험 지역 16곳의 44%가 경북도에 몰려 있다. 경북도는 젊은층 유입 없이 고령화와 인구감소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해 전남도와 공동으로 대처해 나가고 있다. 경북도는 지난 20일 전남도와 공동으로 나주에서 지방소멸 위험을 극복하기 위한 토론회를 개최하고 지방소멸대응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요구했다. 이같은 인구감소는 ▶농촌지역 공동화(空洞化) 가속화에 따른 위축 ▶지방교부세 규모 축소 ▶관공서 통폐합에 따른 행정서비스 질적 하락 ▶의료·복지·편의시설 부족 등으로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 삶마저 피폐해지므로 정부의 특단의 대책이 절실하다. 이성원 편집국장 newsir@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