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은 47살 때인 1443년 12월에 훈민정음 28자를 창제하고 50살 때인 1446년 9월 상한에 `훈민정음`이란 책을 통해 새 문자를 백성에게 알렸다. 공교롭게도 북한은 창제한 날을 기념하고 남한은 반포한 날을 기념하고 있다.
남한 쪽에서는 반포한 날을 양력으로 환산한 10월 9일을 한글날로 기념하고 있으므로 한글날 자체를 바꿀 필요는 없다. 그러나 훈민정음 창제일은 어떤 방식으로든 기려야 한다. 1443년 12월에 이미 훈민정음 28자가 완벽하게 창제되었기 때문이다. 하층민을 배려하고 가장 창조적인 문자를 만든 날을 기념하지 않는다면 무엇을 기념한다는 것인가. 따라서 이 날을 문자의 날로 기념했으면 한다.
문제는 훈민정음 창제 날짜가 정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세종실록에서는 12월 30일 달별 기사로 “이달에 임금이 언문 28자를 지었는데 훈민정음이라 일컫다(是月, 上親制諺文二十八字)”라고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북한에서는 12월의 중간인 15일을 양력으로 환산하여 1444년 1월 15일을 훈민정음 창제 기념일로 삼고 있다. 이에 대해 세종실록 기록일이 음력이라 하여 연도까지 바꿔 가며 기념일을 정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꽤 있다. 그렇다고 12월에 기념일을 잡아 기념하기에는 연말 분위기로 보아 부담스럽다. 1월 15일은 연초에 있어 껄끄럽다. 따라서 1월 30일이나 1월 마지막 주 토요일을 기념일로 삼을 것을 제안해 본다.
안타깝게도 대한민국은 훈민정음 창제일을 기념한 적이 없다. 한글 창제날을 기리지 않는 것은 참으로 배은망덕한 일이다. 많은 사람이 이구동성으로 말하듯 기적의 문자 생활을 하고 있으면서 그 창제날을 기념하지 않는 것은 사람의 도리가 아니다. 북한도 들리는 말로는 제대로 행사를 치르지 않고 있다. 이것이 배달겨레, 대한민국의 문화 수준인가?
/김슬옹 또물또 세종식국어교육 연구소 대표 (사)전국독서새물결 독서교육연구소 소장
▶때: 1월 28일(토요일) 오전 10시 -2시
▶곳: 한글학회(02-738-2235) 강당 *한글학회 길그림(http://www.hangeul.or.kr/ 참조).
서울 5호선 광화문 역 1번, 8번 출구에서 5분 거리, 구세군 회관 옆
▶주최: 또물또 세종식국어교육연구소(http://cafe.daum.net/tosagoto)
▶후원: 한글학회, 한글누리(네이버 카페), 한글네오아카데미,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
▶등록비: 2만원(우수회원, 사전 등록)/ 현장 등록 3만원(초중고대학생 무료)
▶예약 방식 : 예약 입금 후 tomulto@hanmail.net 로 `훈민정음 기념식 참가`란 제목으로 참가자 이름/이메일/손폰 알려 주세요.
▶ 예약 후원 계좌: 제일은행 130-20-552653 또물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