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민선7기 핵심공약인 `제 값 받는 농업실현`을 위한 2021년 농식품 유통혁신분야에 2,079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새해에는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해 피해를 입은 농업인을 위해 추진한 `이철우표 농산물 품앗이 완판운동 시즌2` 및 대구·경북 도농상생 직매장 운영, 라이브커머스 농산물 판매지원 등 판로확대에 `2021년도 농식품유통혁신 예산` 방점을 찍고 6개 분야 100여개 사업을 적극 추진한다.
분야별 주요사업은 △미래를 견인할 농업CEO 양성(112억원) △로컬푸드 활성화(1,209억원) △농식품 수출증대(122억원) △농산물 마케팅 활성화(46억원) △농산물 산지유통 활성화(485억원) △글로벌 농식품 가공산업 육성(105억원) 이다.
김종수 경상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코로나19로 휴교는 물론 각종 모임과 행사가 취소되어 농산물 소비부진으로 농업인들이 농촌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신축년에는 죽을 고비에서 살 길을 찾는다는 사중구생 (死中求生)의 각오로 농업인과 소비자가 모두 만족하는 농식품 유통정책이 되도록 최선을 다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래를 견인할 농업CEO 양성
농민사관학교를 통한 56개과정 1,700여명의 현장중심 미래형 핵심 인력 양성,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한 농업계고 졸업생·2030청년 지원, 정책자문 기구인 농식품유통혁신위원회 운영, 농업계고 재학생 대상 영농정착 교육지원, 지역 농업CEO발전기반 구축 등 농업CEO 양성에 112억원을 지원한다.
▶로컬푸드 활성화
초중고 학생 26만명에게 무상급식 제공, 초등 돌봄교실 과일간식 지원, 지역 내 먹거리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지역단위 푸드플랜 수립 지원, 로컬푸드 직매장 9개소에 건축·설계비, 기자재 구입비 지원, 대구·경북 한뿌리 상생협력 일환으로 대구산격종합시장에 조성되는 대구경북 도농상생 직매장 운영 등 로컬푸드 활성화를 위해 1,209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농식품 수출증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로 식품안전이 그 어느때 보다 강화됨에 따라 위생검역 등 수출업체대상 전문가교육, 신선농산물 수출단지 77개소 확대 육성, 샤인머스캣·김치 등 수출 스타품목 집중 육성, 농식품 수출 우수기업 25개소 육성, 신선농산물 수출물류비 지원, 온·오프 라인 박람회·상담회 참가 30회, 바이어 중점 관리를 위한 상설 화상 상담시스템 구축, 해외상설판매장 5개소 운영 등 농식품 수출증대를 위해 122억원을 투입한다.
▶농산물 마케팅 활성화
코로나19로 인해 집콕생활이 이어짐에 따라 온라인 구매 및 비대면 소비패턴 증가로 라이브커머스 농특산물 판매지원, 경북 농특산물 쇼핑몰‘사이소’와 네이버스마트스토어, SSG.COM, 11번가 등‘사이소’제휴몰, 대구에 개장 하여 2년째를 맞이하는 바로마켓 경상북도점 운영, 대도시를 중심으로 개장되는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 지원, 플리마켓과 온라인 판매망 구축 등 지역 농식품 신유통채널 진출 지원, 농산물 TV홈쇼핑 판매전, 아마존 등 글로벌 쇼핑몰 입점 지원, 판로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농 유통서비스 지원 등 농산물 마케팅 활성화에 46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농산물 산지유통 활성화
산지유통시설 확충, 광역단위 통합마케팅조직 육성 및 역량강화, 농가 조직화, 도 단위 과수 통합브랜드 육성, 농산물 유통단계 축소 등 산지농산물의 시장교섭력 제고를 위한 농산물 산지유통 활성화에 485억원을 투자 한다.
▶글로벌 농식품 가공산업 육성
농업-농식품기업 계약재배 활성화와 연계 기능강화, 농식품 가공시설 현대화 및 농기업 신규창업지원, 지역농산물 활용 농촌일자리 지원 사업 육성, 전통식품의 가공·체험·관광과 연계한 복합산업화 추진 등 글로벌 농식품 가공산업 육성을 위해 105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