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내 비리 문제로 분규가 끊이지 않았던 경북과학대학이 새 총장을 비롯한 이사진이 구성되면서 해직 교직원들이 복직되는 등 화합과 정상화의 길을 가고 있다.
경북과학대학은 지난 9월 도정기 총장과 이사 6명을 새로 선임한 가운데 최근 열린 이사회에서 학내민주화를 요구하다 해직된 이종춘 교수를 비롯한 교직원(교수 3명, 직원 1명)을 원직 복직시켰고, 식품공장 `학교기업`으로의 전환을 의결하는 등 교직원-대학-재단간 상생을 모색하고 있다.
지난 1993년 개교 이후 특성화대학으로 주목받은 이 대학은 전국 최초로 학교기업인 경북과학대학 식품공장을 설립해 160억원 규모의 매출을 기록, 전국에서 벤치마킹이 잇따랐다.
그러나 2005년부터 대학교수협의회 등으로 구성된 `경북과학대학 비리척결과 민주화를 위한 공동투쟁위원회`(공투위)는 ▲불법 회계처리를 통한 횡령 ▲부동산매매 및 공사비리 ▲국고보조금 목적외 지출 ▲유령직원 채용·급여지급 등의 비리의혹을 제기하며 수사를 촉구했다.
`공투위`는 또 1996년 경북과학대학이 교비 35억원을 들여 설립한 식품공장을 재단이 법인 수익사업체로 전환해 운영하면서 상당한 수익금을 빼돌리고 일부만 학교로 지원하고 있다고 폭로한 바 있다.
당국의 감사·조사에 따라 이 대학 재단이사장이 사법처리되는 등 사태로까지 비화되자 재단측은 2008년 12월 `공투위`의 핵심 교직원들을 폐과에 따른 구조조정 등의 이유로 해직 조치했다.
`공투위`와 재단간 각종 소송이 제기된 가운데 당국의 교원소청심사위원회 등이 해직 교직원들의 손을 들어주자 최근 구성된 이사진들은 이들의 원직 복직을 최종 결정한 것이다.
특히 도정기 총장은 부임후 종전의 10위권(취업률 등 대학 평가지표상) 탈환을 위해 휴일도 반납하고 직접 학사운영을 챙기는 등 솔선수범을 보였다. 그 결과 올해 수시1차 모집에서 전체 평균 2.7대1(간호과 10.7대1)의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
도정기 총장은 "교직원과 갈등의 요인이 된 식품공장의 학교기업 전환 등을 통해 학사운영에 투명성을 기해 대학의 밝은 미래를 보장, 교직원들이 근무하고 싶은 대학, 학생들이 오고 싶어하는 대학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