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이전추진위원회(위원장 이규방)는 지난 25일 첫 회의를 열고 도청 입지 기준을 잠정 결정한데 이어 권역별 도청이전 후보지 주민설명회를 잇따라 열었다. 도청이전추진위는 이날 도청이 들어설 신도시는 상주 인구 15만명에 면적은 15㎢ 이상(개발가능 면적 직경 6㎞이내), 땅 경사도는 20%이내로 한다는 것을 골자로 한 입지 기준을 잠정 결정했다. 이 기준이 확정되면 칠곡군은 상주하는 인구수(지난해 12월말 현재 총인구 11만3851명)가 미달, 도청 이전지 자격이 주어지지 않는다. 도청이전추진위는 지난 28일 영주에서 안동과 영주, 영양, 예천, 봉화, 울진 등 6개지역 주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북부권 설명회를 개최한데 이어 29일 김천에서 서부권(김천·구미·상주·문경·고령·성주) 설명회를, 30일 청송에서 중부권(군위·의성·청송·영덕·칠곡) 설명회를, 31일 경주에서 동남부권(포항·경주·영천·경산·청도·울릉) 설명회를 각각 개최했다. 중부권 설명회에서는 도청이전을 위한 입지기준안을 세분화하고 지역성을 고려해야 하며 도내 중심선에서 용이한 지역으로 이전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북부권 설명회와 마찬가지로 입지기준안이 개선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박용진 영해복지재단 이사장은 입지기준안이 너무 단순해 세분화된 기준안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황종규 동양대 교수는 선정방식을 전문가들의 판단에 의해 결정하겠다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며 평가기준과 입지선정의 절차상의 문제를 재검토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도청이전추진위는 이번 설명회에서 도청 입지 기준과 신도청이 들어설 도시의 위상과 성격, 기능, 규모, 개발방향 등을 집중 설명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 오는 22일쯤 입지기준안과 도청소재도시 기본 구상안을 최종 확정키로 했다. 그리고 2월25일부터 3월24일까지 23개 시·군을 대상으로 후보지 공모, 오는 4월18일 입지기준을 충족하는 지역을 평가대상지로 선정한 후 공청회를 열어 시·군의 의견을 수렴해 5월16일 평가기준을 마련한다. 이어 83명으로 평가단을 구성해 현지실사와 평가를 거쳐 6월8일쯤 평가대상지 가운데 최고 득점을 한 지역을 도청이전 예정지로 발표할 예정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신도청 소재지는 새정부의 `5+2 광역 경제권`의 핵심도시로 육성, 대구경북의 신성장 핵심축으로 조성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