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분권운동대구경북본부(상임대표 조진형)와 대구경북민주언론시민협의회(공동대표 조인호 신도환)는 반(反)지방분권-반(反)지역균형발전 여론을 조장하는 모든 전국지(중앙지)에 대해 구독거부운동에 돌입했다. 지방분권국민운동, 대구경북지역혁신협의회, 수도권과밀반대전국연대는 이에 앞서 지난달 14일 대구엑스코에서 `수도권 집중에 관한 중앙지들의 보도실태`에 대한 토론회를 공동으로 주최했다. 참언론대구시민연대 김재훈 대표(대구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조선-중앙일보는 균형발전 정책의 당위성 보다 수도권 규제에 따른 피해를 집중 부각시켰을 뿐 아니라 국토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을 요구하는 비수도권의 주장을 거의 다루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중앙일보는 "수도권 규제완화에 반대하는 대구-경북지역 흐름을 다룬 기사를 한 꼭지도 찾기 힘들었다"고 말했다. 경향과 한겨레도 "조선-중앙과 달리 `균형발전`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에서 기획시리즈를 내거나 비수도권의 요구를 1면에 싣기도 했지만, 다른 대부분의 기사를 등 지역 섹션에만 편집했다"며 "이는 비수도권의 목소리를 정부나 정치권에 전하지 못한 채 지역 안에 가둬두는 결과를 낳았다"고 설명했다. 김대표는 이어 매일신문, 강원도민, 부산일보에 대해서도 "균형발전과 관련한 `정책집행 예산`에 주목하지 않은 채 `더 많은 인센티브`만 요구했을 뿐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수도권 집중`에 대한 반대 여론화에도 성공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매일신문 조향래 문화부장은 토론회에서 "지역신문(지방일간지)도 지역문제를 심층적으로 보도하지 못했고 전국적인 이슈를 만들지도 못했다"며 "지역신문 스스로 성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방분권국민운동 김정희 대변인은 "전국지는 `수도권 지역신문` 수준"이라며 "분권이나 균형발전에 대해 수도권 입장만 대변하는 전국지의 불공정 보도에 대해서는, 소비자 입장에서 공식적으로 반론을 제기하거나 불매-절독운동도 벌여야 한다"고 말했다. 지방분권운동대구경북본부 등은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각계의 전문가들이 수도권 일부 기득권 세력의 입장만을 대변하는 전국지의 보도실태에 관한 문제점을 제기했다며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책으로 지난 3일 내년 1월부터 2월까지 2개월간 전국지 구독 거부운동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자료제공 참언론대구시민연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