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완영의원은 지난 9일 국회에서 열린 첫 상임위 업무보고 자리에서 박근혜 정부는 국민의 피부에 와 닿는 환경정책을 펼칠 것을 주문했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환경정책을 펼침으로써 환경에 대한 국민의식과 정부시스템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고, 나아가 국민행복을 이루는 환경복지사회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이의원의 주장이다. 그러기위해서 정부는 가능한 모든 폐기물을 최대한 재활용-자원화하는 ‘쓰레기 제로’와 유해화학물질로부터 국민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생활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환경정책의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유해화학물질로부터 국민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질의에서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기나 파이프등의 내구연한에 대한 규정을 정해 관리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요구했다. 나아가 화학물질취급 전문인력 양성 및 장비 보강, 잔재물을 처리 가능한 민간 전문방제업체에 대한 육성 및 지원을 통해 진압요원들의 안전은 물론 국민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 사업체의 영업을 환경부장관의 허가를 받도록 한 반면, 유독물영업은 지자체에 등록하도록 이원화된 시스템을 환경부장관이 관리하도록 일원화함으로써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사고의 대비, 대응, 수습 및 복구가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의원은 화학물질취급 전문인력 양성 및 장비 보강, 잔재물 처리가 가능한 민간 전문방제업체에 대한 육성 및 지원을 통해 진압요원들의 안전은 물론 국민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완영 의원은 “국회와 정부가 힘을 합쳐 유해화학물질 등으로부터 국민들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생활환경을 조성해 환경복지가 구현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고, 이에 윤성규 장관은 박근혜 정부 초대 환경부 장관으로서 책임감과 사명감을 갖고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또,상임위 고용노동부 소관 업무보고에서 국민의 삶과 밀접한 행정서비스를 강조하면서 현장밀착형 박근혜 정부 고용노동정책을 주문했다. 이를 위해 이의원은 상급 노동단체에 파견전임자에 대한 타임오프를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완영 의원은 지난 8일 고용노동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무기계약직 전환발표’와 관련, 2012년 기준 총 799곳에서 2만2,069명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된 것에 대해 깊은 환영의 뜻을 표했다 이는 ‘2015년까지 공공기관 비정규직의 무기계약 전환계획’이 박근혜 정부 대선공약에 포함돼 현실화된 것이기도 하다. 이완영 의원은 초선의원으로 지난해 후원금 분석결과 가장 많은 후원금(3억402만원)을 모금한 의원으로 뽑히기도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