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대구권 광역철도사업’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예타) 조사가 통과될 당시 `북삼역` 신설이 제외되어 북삼읍을 비롯한 상당수 지역민들의 강한 반발을 샀으나 향후 이 철도망 추가사업에서 북삼역 설치를 추진키로 해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대구권 광역철도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대한 주민설명회가 지난달 22일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구미시 사곡동에서 개최된 자리에서 북삼역을 향후 철도망 추가사업에서 추진키로 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그 동안 실망했던 주민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주었기 때문이다. 구미~왜관~대구~경산간 61.85km(소요예산 1,197억원)에 이르는 ‘대구권 광역철도사업’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가 지난해 7월 통과했으나 당시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북삼역 신설’이 제외되어 북삼읍과 인근 주민들이 크게 실망하고 북삼역을 설치해 줄 것을 계속 요구해 왔다. 이번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따르면 ‘대구권 광역철도 건설사업’은 기존역사 5곳과 함께 사곡역, 서대구역 2곳을 신설하고, 앞으로 북삼역, 왜관공단역, 원대역, 가천역 등 4곳을 추가하며, 이를 위한 역사 부지매입비를 반영하는 것으로 계획돼 있다. 이날 설명회에 참석한 `북삼역유치위원회` 장세학 위원장은 “2008년부터 국토해양부에 북삼역 신설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건의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북삼역이 제외되는 아픔을 겪었으나 이완영 국회의원과 백선기 칠곡군수, 군의회, 북삼역 유치위원회 등이 주민들과 한마음이 되어 적극적으로 북삼역 신설의 중요성을 호소하는 노력을 기울인 결과 이같은 성과를 거뒀다"고 말했다. 당장 신설역이 아니라는 아쉬움은 있지만, 제외됐던 북삼역 신설사업이 앞으로 추가사업에 포함됐고, 부지매입비를 반영하게 된 것은 큰 결실이라는 것이다. 장세학(칠곡군의회 의장) 위원장은 "북삼읍은 구미국가공단 배후도시로서 주거지역(아파트단지·전원주택)과 신흥상업도시 등으로 발전해 가고 있어 북삼역 신설에 따른 수요는 현재 기준으로 6만명(북삼읍 2만6,331명, 약목면 1만2,022명, 구미시 임오동 2만1,158명)에 달하며, 현재 진행 중인 북삼 율리도시개발사업(79만1,000㎡, 1만2,000명), 북삼 서희아파트(999세대), 오평일반산업단지(187만2,000㎡) 등을 감안하면 향후 대폭적인 수요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북삼역 신설이 조기에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대구권 광역철도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는 대구권 광역철도 장래사업으로 계획된 북삼역은 북삼읍 율리 88-5번지 일원 4,527㎡의 편입부지에 매입비 약2억원이 책정돼 있어 북삼역 신설이 점차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경북도의회 김창규(칠곡) 의원도 지난 3월 도의회 제283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경북도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북삼역이 추가로 신설, 광역전철망이 경북 발전의 대동맥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북삼역 설치를 촉구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