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최근 계속되는 아동학대에 대한 도민들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15일 오후2시 경북도청 강당에서 아동학대 예방 유관기관 긴급 정책간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정책간담회에는 경상북도, 대구지검, 경북지방경찰청, 경상북도교육청, 아동보호전문기관, 학대피해아동쉼터, 해바라기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 여성긴급전화1366, 아동양육시설, 어린이집연합회, 시군 공무원 등 20개 기관 단체에서 200명이 참석한다. 간담회에서는 ‣아동학대 예방대책 기관별 업무보고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사례발표 ‣종합토의 및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되며, 도출된 의견들은 도 아동학대 예방 정책에 적극 반영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도에서는 지난해 12월 인천 초등학생 감금․학대 사건이후 ‣미취학 및 장기결석 아동 ‣건강검진․예방접종 미실시 영유아 일제점검을 3월 31일까지 완료했고, 또한 시군 부단체장 회의 등을 통해 아동학대 예방에 적극 대응하도록 지시했다. 특히, 도에서는 아동학대 인프라구축과 예방을 강화하기 위해 2016년 피해아동 심리치료를 하는 쉼터를 상반기 중에 2개소(경주, 구미) 확충(2개소→4개소), 내년도에 아동보호전문기관 1개소 확충(4개소→5개소), 신고의무 교육실시, 예방 및 교육강화, 아동복지시설 종사자 등을 통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아울러, 정책간담회 후 4월 18일 경북대학교 대강당에서 일선 지자체 공무원 710명(시군 2명, 읍면동 2명) 대상으로 예방 및 방지 교육을 실시한다. 도내 아동학대 판정건수는 15년도에 786건(14년 대비 58% 증가)발생하였으며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발생장소는 대부분 가정에서 78.2% 이루어지고, 학대유형은 중복학대가 40%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아동학대 증가 원인은 2014년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제정 시행되어, 신고의무 강화, 신고전화가 112로 통합 운영, 홍보강화 등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김현기 행정부지사는 아동학대는 경제적 이유, 자식을 내 소유물로 생각하는 잘못된 인식, 주위의 방관적 자세 등이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족기능 회복 및 인성교육 활성화를 통해 아동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조성에 최선을 다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