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소방본부는 2016년 구급활동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도민이 3분 40초마다 119구급차를 요청해 응급의료서비스 혜택을 본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한해 구급출동 건수는 13만7,984건으로 지난해 대비 3.5%, 이송인원은 9만9,910명으로 4.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출동거리로 환산해 볼 때 구급차 1대당 3만1,481km를 달렸으며 서울과 부산을 38회 왕복한 거리와 같고, 도내 모든 구급차가 달린 총 거리는 지구를 101바퀴 돈 것과 같은 거리이다.
구급환자 발생은 지역별 인구와 비례해 인구가 많은 포항시(1만4,408건), 구미시(9,949건), 경산시(8,641건) 순으로 구급환자가 많이 발생했다.
23개 시·군 중 52.2%인 12개 시·군(영주시 7분 12초, 구미시 7분 28초, 포항시 7분 28초)의 구급차가 평균 10분 이내 현장에 도착했고, 11개 군이 20분 이내 현장에 도착했으며, 다음으로 울릉군(12분 36초), 군위군(12분 11초), 봉화군(12분 6초) 순으로 도착시간이 길었다.
환자 유형별로 보면 질병 54.4%(5만4,357명), 사고부상 23.2%(2만3,207명), 교통사고 16.3%(1만6,304명) 순으로 환자를 이송했으며, 질병환자는 성인 10대 만성질환인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암 등이 74.6%를 차지해 도민의 만성질환 예방 교육·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월별 평균 이송인원은 8,326명으로 지난해 폭염일수 증가와 여름 휴가기간인 8월 9.28%(9,270명), 7월 9.08%(9,069명)에 가장 많았으며 9월 8.99% (8,987명), 5월 8.96%(8,952명) 순이었다.
시간대별로는 아침 출근시간대인 8~9시(1만1,459명)에 가장 많이 이용했으며, 10~11시(1만745명), 12~13시(1만471명) 순이다.
연령별로는 70대(1만8,448명) 가장 많았고 80세 이상(1만4,279명), 50대(1만2,312명), 40대(8,051명)순이었으며, 이는 경북이 고령화 사회에 접어 든 것으로 분석된다.
장소별로는 가정(5만3,636명)에서 가장 높았으며, 일반도로(1만6,716명), 주택가(5,307명)에서 발생해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등 기본 응급처치교육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 현황으로 무직(3만2,021명)이 가장 많았으며, 주부(1만1,797명), 회사원(8,416명), 학생(6,361명) 순으로 나타났다.
우재봉 경상북도 소방본부장은 “지난해 구급활동실적 분석을 토대로 도내 인구 고령화에 따라 응급의료 서비스망 구축 일환으로 원터치 119 어르신 폰 3,000대 확대 보급과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 증가로 심뇌혈관 환자에 대한 구급대응체계를 강화해 도민 생명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