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과학대학교 화장품뷰티계열 학생들이 ‘2016 대구뷰티엑스포’에 참가, 안면관리부분에서 대상(김현주)과 퍼머넌트부분 금상(장희진) 등을 수상했다.
전통식품의 기술혁신과 과학화로 지난 1996년에 설립된 경북과학대학교(총장 장재현) 학교기업 식품공장(브랜드명 대학촌)은 약용식품조리가공과 교수진의 우수한 연구실적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체 브랜드인 ‘감식초 화이바’를 비롯해 대기업 제품인 ‘팻다운’, ‘컨디션’, ‘백년동안’, `고려은단 비타민C` 등의 제품을 꾸준히 생산해 온 결과 매년 매출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식품의약품안전청(KFDA)로부터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 적용업체(GMP)로 지정 받는 등 앞선 기술력과 첨단설비, 철저한 위생관리가 주효했기 때문이다.
학교기업의 운영수익금은 고스란히 재학생들의 장학금으로 환원되고 있으며, 학교기업의 첨단 설비는 재학생들의 생생한 연구와 현장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경북과학대학교의 특성화 모범사례로는 간호학과 재학생 2년연속 국제라일라(청소년리더십)대회 한국대표로 선정(2017년 미국 에트란타 대회 참가, 2015년 브라질 상파울루 대회 참가) 2015년 작업치료과 국시 100% 합격, 2015년 전국 메이크업 경진대회 대상 수상(바디페인팅), 골프부 프로(KLPGA·투어)선 수 연속 배출, 자유학기제 유공 교육부장관 표창 등을 들 수 있다.
교수진들의 남다른 열정과 노하우는 특성화 학과 신설에서부터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름만으로 익숙한 화장품 뷰티(1993~1994), 약용식품조리가공(1994), 이종격투기(2005)전공 등이 바로 전국 최초로 신설되어 지금은 분야별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전 계열 교수진들이 기능장으로 포진한 호텔조리제빵·차문화과를 비롯하여, 미국 버클리 음대 출신의 교수진으로 이루어진 실용음악과, 카지노교관 출신의 교수진이 이끄는 보안카지노경영과 등 현장 경험이 풍부한 교수진들이 실무교육에서부터 취업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책임지고 지도하고 있다.
특히 보안카지노경영과의 경우 내년 2월 졸업예정인 재학생 74%가 이미 취업을 확정지었으며, 학과발전을 위해 협력기관과 익명의 기부자가 줄을 잇고 있는 가운데, 지난 2013년부터 현재까지 5억1천여만원상당의 기부금(물품)을 전달받았다.
우수한 교수들의 남다른 열정과 활약은 매년 높은 취업률로 반영되고 있는데 양질의 교육은 졸업 후에도 업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무한책임을 다하고 있다. 또 재학생들에게 학비 부담을 줄여 학업에만 전념 할 수 있도록 장학금을 대폭 확대하고 있으며, 신입생 전원에게 100%의 장학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세계를 무대로 2007년부터 매년 전공별 해외연수를 시작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재학생 1,400여명이 그 혜택을 누리고 있다.
내년 신입생 모집정원은 840명으로 ‘수시’에서 전체정원의 약 93%를 모집한다. 정원 내 전형에서는 일반전형, 특성화고 졸업자 특별전형, 대학자체기준 특별전형으로 선발하며, 면접은 대부분의 학과에서 실시한다.
특성화고 졸업자 특별전형은 특성화(전문계)고 출신자로 간호학과는 간호 관련학과 출신자, 작업치료과는 간호·보건관련학과 출신자만 지원 가능하다. 정원 외 전형은 농어촌전형, 저소득전형, 만학&재직자 전형, 대학졸업자전형, 재외국민전형이 있다.
성적반영은 고교성적(학생부, 수능점수)보다는 수험생의 소질과 적성, 인성 등을 면접에 반영한다. 수시모집에서 간호학과는 내신90% 면접10%를 반영하며, 실용음악과는 내신20% 실기80%, 나머지학과는 내신60% 면접40%를 각각 반영한다.
이 대학 정경희 입학취업처장은 “무한 잠재력의 보고인 우리 대학은, 지난 1995년 전통식품연구소를 시작으로 `학교기업(school enterprise)`의 성공적인 운영으로 특성화의 모범사례로 전국적으로 주목을 받기도 했다. 현재는 전 계열(학과)을 대상으로 특성화의 새로운 비전인 3S(Smart 입학, Special 교육, Smile 취업)를 통해 학생 중심의 교육실현을 위해 분야별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재현 총장은 “내실이 있고 건강한 대학이 우수한 전문인을 많이 배출할 수 있다. 개교 30주년에는 전국 전문대학 상위권 내로의 진입을 목표로 장기적 관점에서 특성학과 발굴과 육성에 혼신의 힘을 다하며, 전문기술인 양성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라며 비전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