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자체 부서명칭까지 간섭하나? 칠곡군의 조직개편이 왔다갔다하는 바람에 행정력을 낭비하고 있다. 군은 7월1일 안전총괄·재난방재·민방위·통합관제 등 4담당으로 구성된 안전관리과를 신설해 지금까지 안전행정과와 건설방재과, 정보통신과에 각각 흩어져 있던 안전 업무를 한 부서에서 총괄, 각종 상황에 발 빠르고 조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군청 안전행정과는 총무과로, 건설방재과는 건설과로 과명칭도 변경된다. 2013년 6월 총무과에서 안전행정과로 바꾼 것으로 다시 총무과로 복귀시킨 것이다. 일각에서는 이에 대해 2013년 6월 "수십년간 이름을 유지해온 총무과에 익숙한데 정부가 자치단체 부서명칭 변경까지 간섭하는 것은 자칫 중앙정부가 지방정부를 안전하게 통제하려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올 수 있다"고 지적, 총무과의 안전행정과 변경에 불만을 표시한 바 있다. 안전행정부가 당시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지자체 안전조직 개편지침` 공문을 보내 총무과를 `안전`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세가지 유형의 새명칭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라고 지시했기 때문이다. 당시 개편된 주요내용을 보면 안전관리 조직체계 강화를 위해 총무과를 안전행정과로 명칭을 변경하고 복지업무가 몰려있는 주민복지과(과장 4급)를 주민생활지원과(과장 5급)와 사회복지과(과장 5급)로 나눴으며, 재난관리과와 건설과를 건설방재과로 통폐합했다. 3년이 지난 6월15일 칠곡군의회는 제231회 제1차 정례회에서 칠곡군수가 제출한 `칠곡군 행정기구 설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원안가결해 총무과가 건설과로 되돌아 가는 등 조직이 새로 개편된다. 이번 조직개편으로 칠곡군 본청은 2국·1실·15과·80담당(계)에서 2국·1실·16과·80담당으로 조정, 1개과가 늘어난다. 2016년 행정자치부 기준인건비 반영에 따라 칠곡군 공무원 정원은 755명에서 761명으로 6명 늘어난다. 또한 세무과의 과표담당은 군세담당, 체납세정리담당은 징수담당으로 각각 흡수 통합되고, 지방세소득세담당이 신설된다. 군은 이와 함께 칠곡시 승격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 총무과장을 단장으로 시승격기획단도 신설한다. 칠곡군은 "국민안전처 신설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재난안전전담부서인 안전관리과를 설치하고, 일부 실과 조직체계와 담당을 신설-통폐합 및 분장사무조정을 통해 행정수요 변화와 업무수행의 유연성을 기하고자 이번에 조직개편을 하게 됐다"며 "이는 행정자치부가 지난해 5월 각 시·군에 하달한 `지자체 안전조직체계 개편 지침`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