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올해 신규임도 107㎞(간선임도 75㎞, 작업임도 32㎞), 기존임도 56㎞에 대한 구조개량 사업을 조기 착수한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에는 전국 최고 사업비를 확보했으며 조기착수를 위한 사전설계를 지난해 12월 완료했다.
임도는 목재생산에 대비한 산림관리 목적으로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일정한 구조와 규격을 갖춘 간선임도와 작업임도로 구분하며 휴양, 문화, 교육 등 이용도에 따른 테마임도로 구분된다.
간선임도는 제4차 임도설치계획(2016~2020)에 반영된 예정노선 중 타당성평가에 적합하고 산림경영계획이 수립된 산림에 우선 설치하며 산주 부동의 시 대체노선 선정으로 이월사업이 없도록 하였으며, 작업임도는 대 규모의 숲가꾸기 대상지 등 목재생산 집중지역에 우선 반영하고, 재해 위험이 높은 기설임도의 구조개량사업은 6월말 이전에 완료하여 집중호우로부터 임도를 보호하는 등 연중 임도관리원(80명) 및 모니터요원(44명)을 배치하여 상시 관리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하여 전 노선 지역 주민설명회 개최를 통해 부분적 이견 발생 시 조속히 해결방안을 마련하고 신속하고 견고한 임도를 시공 할 예정이다.
특히 금년부터는 500m마다 국가지점번호판 설치를 통해 긴급 상황에 대한 대국민 위치안내서비스를 제공하며, 산림청과 연계한 ‘임도망 구축 협의회’를 구성·운영하여 국유·민유 구분 없는 통합된 임도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한명구 경상북도 산림자원과장은 도시화·산업화로 인한 산림의 다원적 기능이 두드러지면서 임도는 임업경영뿐만 아니라, 산림의 재산 증대에도 중대한 관계가 있다며 산주들의 토지사용 동의에 적극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