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24절기의 시작이며, 봄이 옴을 알리는 입춘(立春)입니다. 예전엔 입춘이 되면 각 가정에서는 입춘축(立春祝)을 대문이나 문설주에 붙이지요. 입춘축을 다른 말로는 춘축(春祝)·입춘서(立春書)·입춘방(立春榜)·춘방(春榜)이라고도 합니다. 입춘날 입춘시에 입춘축을 붙이면 “굿 한 번 하는 것보다 낫다.”고 하며, 전라북도에서는 입춘축 붙이면 “봉사들이 독경하는 것보다 낫다.”고 하여 입춘에는 꼭 하는 세시풍속이었습니다. 입춘축에 주로 쓰이는 글귀는 “입춘에는 크게 좋은 일이 생기고, 새해에는 기쁜 일이 많기를 바랍니다."라는 뜻의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입니다. 그밖에 "산처럼 장수하고, 바다처럼 부유해지기를 바랍니다."라는 뜻의 "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海)",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오고, 문을 열면 온갖 복이 들어오기를 바랍니다."라는 뜻의 "소지황금출 개문백복래(掃地黃金出 開門百福來)" 같은 것들도 있지요. 전라남도 구례에서는 입춘축을 "잡귀야 달아나라."고 써 붙이기도 합니다. 그런가 하면 한지를 마름모꼴로 세워 ‘용(龍)’자와 ‘호(虎)’자를 크게 써서 대문에 붙이기도 하지요. 전통마을로 알려진 경북 영덕 괴시마을 한 대문에는 “신다울루(神茶鬱壘)”라는 글귀를 써 붙인 것을 보았습니다. 이는 귀신을 쫓는 글로 원래 천문, 지리, 측후를 맡아 보던 관청인 관상감(觀象監)에서는 붉은 물감으로 써서 궁중의 문설주에 붙여 둔 것입니다. 입춘의 세시풍속에서 빼놓을 수 없는 또 한 가지는 아무도 몰래 많은 사람에게 좋은 일을 해야 한다는 “적선공덕행(積善功德行)”이 그것입니다. 오늘 우리는 입춘축은 붙이지 못했어도 적선공덕행을 실천하면 어떨까요?/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