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은 심정지환자 발생시 119구급대가 도착하기 전까지 시행해야 하는 응급처치로서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지 못하면 심정지환자는 뇌사, 사망에 이를 정도로 중요한 응급처치법이다.
심폐소생술은 의료인들이나 119대원들만이 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기본적인 심폐소생술은 조금만 배우고 익히면 누구나 할 수 있다.
갑작스럽게 의식을 잃고 쓰러져 호흡이 없다면 우선 119에 신고하고 주변인에게 제세동기를 요청한다. 그 다음 곧바로 환자를 똑바로 눕힌 후 지체 없이 흉부압박을 실시한다.
성인의 경우 손의 압박지점은 가슴 정중앙 부분을 분당 100 ~ 120회 이상의 속도로 5cm 깊이로 강하게 압박을 하면 된다. 이 흉부압박은 환자의 의식이 돌아오거나, 119구급대원이 현장에 도착하기 전까지 흉부압박을 계속해서 실시해야 한다.
2015년 칠곡소방서는 칠곡군민 5,912명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하였다. 이 결과 2015년 심정지 환자 소생률을 1.3%에서 3.5%로 향상하는데 기여하였다.
이는 심정지 환자 최초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과 함께 119구급대의 현장 전문심폐소생술이 이뤄낸 결과로 볼 수 있다.
칠곡소방서(서장 안태현)에서는 2016년에도 심폐소생술 교육을 확대 보급할 계획이다. 심폐소생술에 대하여 궁금하거나 교육을 희망하는 개인, 단체는 가까운 소방서에서 신청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