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위원장 도기욱)는 제291회 임시회를 맞아 20일부터 21일까지 양일간 상임위원회를 개최하고, 조례안과 동의안 11건과 2017년 추경예산안에 대해 심사를 진행했다. 김위한(비례) 의원은 “2017년도 본예산중 도의회 상임위와 예결위에서 삭감된 사업이 그대로 추경 예산안으로 다시 편성되었다”고 질타하고, “집행부에서는 사전 예산편성시 증액의 취지를 해당 상임위에 먼저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홍희(구미) 의원은 “이번 추경예산안으로 대구시와 상생협력 마케팅 등 경북대구 상생협력 분야 홍보예산이 신규편성 되었지만, 정작 경북의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대구연구개발특구를 구미시로 확대·지정하는 사업은 누락되었다”고 지적하고, “조속히 경북대구상생협력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하라”고 요구했다. 정상구(청도) 의원은 “청도 소싸움 육성과 지원에 관한 조례가 제정되었지만 도세 감면조례 전부개정으로 전통소싸움을 위한 레저세 감면이 폐지됨에 따라 재정이 열악한 청도군은 막대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청도 소싸움을 육성할 수 있도록 관련 지원금을 확대 편성될 수 있도록 하라”고 요구했다. 장경식(포항) 의원은 경북 동해안 지역의 철강과 항만, 원자력 등 대형 재난사고를 대비하기 위하여 추진하는 동해안 119특수구조단 사업 추진상황을 점검하였으며, 또한 “동해안발전본부 포항시 이전사업 속도가 너무 늦다"고 질타하고, "조속한 예산지원을 통해 내년도에는 건축비를 편성할 수 있도록 사업추진 속도를 높이고, 청사건립 이전이라도 임사청사에 입주해서 조속히 동남권 주민들의 행정적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을 세우라"고 요구했다. 배진석(경주) 의원은 “이번 추경예산안 기조를 살펴보면 경상적 경비와 홍보비 등이 증액 계상한 것으로, 사드문제로 인한 중국관광객 감소-정치적 혼란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민들의 생활과 직결된 민생분야 예산의 편성이 미흡하다”고 질타했다. 김창규(칠곡) 부위원장은 이번 추경에서 노후 소방시설 개선-보강을 위해 추진하는 소방안전교부세의 감액사유를 물어보고, “다른 분야보다 도민들의 안전과 직결된 소방분야의 예산을 대폭적으로 증액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라”고 요구했다. 박현국(봉화) 의원은 “경상북도개발공사 신규투자사업 추진계획안 대한 심사에서 화장품 수출에 있어서 대중국 의존도 높아 중국의 정치적·경제적 여건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수출시장 다변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문했다. 윤성규(경산) 의원은 “경산 화장품 특화단지 조성사업 추진시 토지이용계획상 녹지비율을 너무 낮다”고 지적하고, “주변환경과 미관을 고려하여 녹지비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라"고 요구했다. 박성만(영주) 의원은 “2017년도 본예산 심사시 삭감된 사업을 다시 추경예산에 반영하는 것은 추경예산 편성의 목적에 맞지 않다”고 지적하고, “홍보비 등 경상적 경비 보다는 주민들 민생과 관련된 예산이 증액 될 수 있도록 추경예산 편성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도기욱(예천) 위원장은 “경산 화장품 특화단지 조성사업의 공기가 너무 짧아서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됨에 따라 경북도, 경산시, 경북개발공사와 잘 협의해서 사업기간 안에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하라"고 주문했다. "특히, 이번 추경예산안이 전체적으로 민생과 관련된 예산이 다소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앞으로 도민의 민생과 직결된 예산이 증액 편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라"고 요구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