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지난해에 이어 ‘2014낙동강국제물주간’을 10월 18부터 22까지 5일간 개최한다. 이번 물 주간은 세계물포럼의 성공 개최 역량을 높이고, 세계 물 전문가와 네트워크를 구축을 통한 국제사회의 물 문제에 대한 구체적 해결방안을 모색해 경북이 물산업의 중심도시로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한 ‘POST(포스트)-세계 물포럼’전략의 일환으로 개최된다. 10월 20일 오후 5시 경주 현대호텔 컨벤션홀에서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를 비롯한 기관단체장과 국토교통부 등 정부 주요인사, 세계적인 석학과 아시아 각국의 물관련 고위급 인사 500여명이 모여 물주간의 개막을 가지고, 세계적 물 전문가 들이 모여, 전 인류의 물 문제해결방안을 모색한다. ‘경주국제물포럼’은 10월 20일부터 22일까지 3일간 개최대며, 20일 오전부터 세계적인 석학들과 물전문가들 500여명이 모인 가운데 미로슬라브 베스코비치(세르비아 노비사드대학교 총장)와 타이칸 오끼(일본 동경대학교 교수)의 특별기조강연을 시작으로 8개세션에서 다양한 물과 관련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물문제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첫째날인 20일에는 제7차 세계물포럼 고위 패널 회의를 시작으로, 물안보 및 지속가능성에대한 고위과정 회의가 진행된다. 둘째날 오전에는 ‘범 지구변화의 적응 및 과제에 관한 물전문가 패널 회의’를 주제로 기조발표와 패널 토론이 이어지고, 오후에는 4개의 세션회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마지막날 ‘물, 식량 및 에너지’, ‘새마을 운동과 물’ 등을 주제로 한 4개의 세션에 이어 종합토론, 문화 및 산업시찰을 끝으로 경주 국제물포럼은 막을 내린다. 아시아 각국들의 물관련 고위급인사들이 모여 각국들의 물문제 위험요인과 해결방안을 소개하고, 현재에도 진행 중이거나 예견되는 물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특히, 아시아개발은행(ADB)에서 운영중인 ‘아시아 위생협회와 물 문제 연계방안’을 설명하는‘아시아 물관련 고위급회담(AWHoT)’이 열린다. 아시아 위생협회와 물 문제 연계방안은 ADB에서 MS사-빌케이츠가 기부한 저개발국 위생해결 기금으로 운영 중이며, 물문제도 위생문제로 인식하여 몽골과 부탄에서의 시범사업을 확대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이번 ‘낙동강 국제물주간’에는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함께 열린다. ‘금장대 강변축제’는 금장대 맞은편 형산강 둔치에서 10월 18일 10시부터 시작해 20일까지 형산강 유등띄우기와 금장대 야간조명 축제, LED조명으로 장식한 황포돗배 야간운행등 물놀이 시설 운영, 돗단배띄우기 체험과 자전거를 이용한 ‘물과 함께 떠나는 경주역사여행(물 따라~길따라~)와 50개의 물체험 부스를 운영한다. 하이라이트인 ‘2014낙동강국제물주간 전야제’에서 국내외 참석자 모두가 참여하는 물포럼 성공개최 염원‘풍등과 연날리기 행사’와 문화예술동호회 경연대회가 열리고 시상한다. 이번 행사는 세계물위원회(WWC) 주요인사, 아시아 물관련 고위급 인사(장․차관), 물분야 석학, 관련 기업체 임직원, 공공기관 및 관계공무원 등 연인원 5,000여명이 참석하게 된다. 이에 앞서 상주 북천시민공원에서 ‘2014 낙동강국제물주간’ 행사로 10월 10일부터 12일까지 ‘청소년 물 과학축전’에 8천300여명이 참여해 대성황을 이루었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물 문제와 관련 국가간 지역간 갈등양상이 갈수록 증폭돼 마치 치열한 전쟁터를 방불케 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구촌 물 문제 해결을 모색하는 낙동강 국제물주간 개최는 매우 의미가 있다”며, “낙동강 국제물주간 행사를 스웨덴‘스톡홀름세계물포럼’,‘싱가포르 국제물주간’행사와 함께 세계 3대 국제물주간 행사로 육성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