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문화재로 지정된 김천 명물 과하주(過夏酒)는 여름이 지나도 변하지 않고, 마셔서 여름을 건강하게 날 수 있다는 술입니다. 과하주는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 `산림경제(山林經濟)`,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등에 나올 정도로 유명했습니다. 발효주는 도수가 낮은 까닭으로 여름철 변질하기 쉽기에 과하주는 발효주에 알코올 도수가 높은 증류식 소주를 섞어 일종의 혼양주를 마시게 하는 것이지요. 어쩌면 이 과하주가 폭탄주의 원조가 아닌지 모릅니다.
시내를 내려다보는 김천시 남산 꼭대기 부근에 오래된 우물 과하천(過夏泉)이 있는데 이 우물은 경북 무형문화재 제228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임진왜란 때 이곳을 지나던 명나라 장수 이여송이 이 우물물을 맛보고 중국 금릉의 과하천 물맛과 같다고 칭찬한 뒤 과하천이라고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고 전해지는 이 물로 과하주를 빚지요.
또한, 1921년 잡지 `개벽 제18호`에 권덕규 씨의 ‘경주행’이란 수필문이 있는데 “過夏酒 조키로 有名한 金泉을 거쳐 한 停車場 두 정거장 세이다가 大邱에 나리기는 해가 기울어서라”라는 글에 김천의 과하주 이야기가 나옵니다. 무더운 여름 땀 흘리고 난 어스름 저녁 느티나무 아래서 이웃과 함께 과하주 한 잔이면 무더위쯤 날려버릴 수 있지 않을까요?/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