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남자 축구 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이 일본을 2:1로 꺾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당시 주전으로 뛴 손흥민 선수의 110억짜리 군면제 등에만 국민들의 관심이 쏠렸지 일본 대표축구팀 유니폼 상의에 문장(紋章)으로 사용한 삼족오 엠블럼에는 그냥 지나갔다.
일본축구협회(JFA) 엠블럼도 삼족오이다. 삼족오는 고구려의 상징물이다. 그 상징물을 일본이 쓰고 있는 것이다. 한 때 인기를 끌었던 MBC ‘주몽’ 등 역사드라마에서도 삼족오가 등장했다.
주로 태양을 상징하는 원 안에 삼족오가 그려져 있는데, 까마귀는 양을 의미하는 태양에 살고 있고, 발의 숫자도 양의 수인 3개로 설정한 것이다. ‘까마귀=태양’이라는 설정은 사람이 죽으면 까마귀가 그 영혼을 하늘나라에 데려간다는 신화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그렇다면 까마귀가 흉조가 아니라 길조가 아닌가? 대다수 학자들의 전술(前述)한 주장에 대해 까마귀가 길조 ‘태양새’라는 주장을 소개한다.(구길수 선생의 『천부인과 천부경의 비밀』을 중심으로)
삼족오는 왜 다리가 세 개일까, 일각에서는 삼신사상, 즉 천(天)·지(地)·인(人)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서양에서는 까마귀가 길조이며 ‘Crow’로 표기된다. 왕권의 상징인 왕관이 Crow에서 나온 ‘Crown’이다. 서양에서도 까마귀가 왕권의 상징임을 알 수 있다. 까마귀가 동서양에서 태양신을 상징하는 신물로 숭배 대상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삼족오의 정체는 어떻게 될까? 다리가 셋인 것은 천부인으로 만든 ㅅ으로 볼 때 ‘서다, 세우다’의 뜻이 있고, 이는 ‘사내’라는 ‘셋’이기 때문에 의심이 없었다. 그러나 왜 우리 민족이 불길한 새로 생각하는 까마귀인가 하는 문제이다. 또 왜 검은 까마귀가 태양을 상징하는가도 의문이었다.
그러니까 삼족오의 그림에서 ‘해’는 생명의 씨인 ‘환숫’이고, ‘검은 새’는 그 씨를 받아 세우는(키우는) ‘땅, 곰네’이니 검은 새에 다리가 세 개인 것은 ‘환숫의 씨를 받은 곰네가 생명을 세운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삼족오는 중국 대륙을 거의 다 장악했던 고조선, 특히 중국의 삼황오제로 들어가는 복희, 황제, 요순 등도 그 씨는 우리 민족이었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사서인 에 의하면 ‘北有樹 名曰雄 常先八代帝 於此取之’, 즉 ‘북에 나무가 있는데 이름을 ‘웅상’이라 한다. 늘 앞서 팔대의 제왕들이 여기서 이를 취해갔다로, 남근을 상징하는 소도의 신물(蘇塗-솟터의 서낭나무)인 웅상(雄常)을 우리에게서 취해 갔다하였다. 이 삼족오조차 우리 것을 취해 가지 않았을 수 없을 것이고, 그렇다면 중국 고사에 삼족오가 등장하지 않을 수 없는데, 그 증거는 우리 천부인을 제외하고 중국사서 기록만으로는 아무리 신화라지만 삼족오의 만들어진 논리적으로 밝힐 수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검은 새’는 검다 하여 까마귀로 알게 되었지만, 우리 역사에서 까마귀가 귀한 새로도 많이 등장한다. 이 까마귀가 길조로 나오는 기록은 일월지정(日月之精)으로 일본에 건너가 왕과 왕비가 된 ‘연오랑(延烏朗)과 세오녀(細烏女)’, 동명왕과 백제 온조왕을 각각 동행한 ‘오이(烏伊)와 오간(烏干)’, 신라 관직 명칭에서 나오는 ‘대오(大烏), 소오(小烏)’ 등이 그 예이다.
고대 문헌을 찾아보면 우리 조상들은 ‘삼족오’라고만 기술했지, 학자들이 규정하듯이 ‘세 발 달린 까마귀’라고 한 적이 없다. ‘삼족오’의 ‘烏’를 ‘까마귀오’로 오독하고 있을 따름이다. ‘烏’는 옥편에 ‘까마귀’와 ‘검다’라는 뜻이 같이 나온다. 오골계(烏骨鷄), 오죽(烏竹) 등에서 ‘오(烏)’는 ‘까마귀오’가 아니라 ‘검을오’로 읽힌다.
삼족오의 ‘오’도 마찬가지다. 까마귀오가 아니라 검을오로 읽어야 삼족오가 지닌 상징성을 제대로 밝힐 수 있다. 삼국사기 권14 ‘고구려본기 2 태무신왕조’에 보면 ‘오자흑야’라는 문구가 나오는데 이도 삼족오 ‘오’가 ‘검을오’임을 뒷받침한다.
요컨대 삼족오는 까마귀가 아닌 ‘생명’을 상징하는 ‘태양’, 즉 ‘환숫의 씨를 세우는 곰네’를 상징하는 우리 민족만의 그림으로 본다.
우리 민족이 강성했을때는 삼족오는 우리의 상징물이었지만 신라시대를 거친 후 사대주의 영향으로 모든 사관을 중국의 입장에서 삼족오를 흉조로 전락시켜 까마귀마저 흉조가 됐다는 주장은 설득력을 지닌다.
삼족오는 우리 민족이 시조(始祖)이다. 우리는 삼족오의 근원을 제대로 밝혀 잃어버린 우리의 역사를 되찾아야 한다. 우리 나라와 우리 민족이 시원(始原)인 삼족오처럼 인류 문화의 모태를 찾아내 밝히고 찬란한 세계 문화를 창조하는 성과를 거두어야 하리라.
이성원 편집국장 newsir@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