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소방본부는 최근 화재발생 시 완강기 사용법을 몰라 고층건물에서 뛰어내리거나 완강기를 잘못 사용하다 추락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지난 2017년 아파트 8층에서 완강기 로프를 지지대에 고정하지 않고 탈출하려던 60대가 떨어져 숨졌으며, 2015년 의정부 아파트 화재 때에는 완강기를 사용한 주민이 1명에 불과했던 것으로 밝혀져 응급상황시 완강기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일반 도민은 완강기 교육을 받을 기회가 부족하고 완강기와 관련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매체도 부족한 실정이다.
완강기는 다중이용업소와 공동주택 3층 이상 10층 이하의 층에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며 건물 외부로 로프, 감속기 등을 설치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내려올 수 있는 기구로 완강기는 화재가 났을 때 신속한 탈출 수단으로 고층건물에서 응급상황이 발생시 활용하기 위해 설치된다.
안전한 완강기 사용방법은 먼저 ▶완강기함에서 완강기를 꺼내 지지대 고리에 완강기 고리를 걸고 잠근다 ▶지지대를 창밖으로 밀고 아래를 확인한 후 릴(줄)을 바닥으로 던진다 ▶완강기 벨트를 가슴 높이까지 걸어 조인 후 창밖으로 이동한다 ▶내려오는 동안 벽을 짚으며 양팔을 벌리고 벽을 바라보는 자세로 안전하게 착지한다.
(유투브 영상자료: https://youtu.be/wECkmQ4Wblc)
사용법을 익혀도 관리가 제대로 안되면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평소 관리를 철저히 해야한다.
또한 건물에 주거하는 사람은 완강기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법을 사전에 숙지해야 하며 불이 났을 때는 침착하게 대응하여 안전하게 탈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북도 소방본부 관계자는 “고층건물 화재 시 완강기는 비상 상황에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생명줄과도 같다”며 “도민들이 완강기 사용법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대상별 맞춤형 소방안전 교육과 SNS 등을 통한 홍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