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도내 정신의료기관에 재원해 있는 정신질환자의 재활의지 고취와 사회복귀를 돕기 위해 회복지원 프로그램 `Re:Start`를 개발, 7월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정부는 1995년 정신보건법을 제정한 후 중증 정신질환자의 권익신장과 지역사회로의 통합을 위해 노력해왔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비자발적 입원, 낮은 퇴원율, 지역사회서비스 인프라 부족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정부는 정신보건법 전부개정 법률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정신건강복지법’, ’17년 5월)을 시행, 비자발 입원 절차의 엄격성 강화, 정신 질환자에 대한 보편적 복지서비스 제공 근거 마련 등 정신건강복지 사업의 전면적 확대의 전환기를 맞고 있다. 경북도의 정신질환자 회복지원 프로그램 `Re:Start`는 ‘병의 회복(임상적 회복)’보다 ‘전인적 회복’에 촛점을 두고, 정신질환이 있지만 독립적이며 스스로 관리 가능한 과정으로서의 ‘회복’을 강조하며 생동감 있고 가치 있는 삶을 환자 스스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 대상은 정신의료기관 입원환자로 회복에 대한 이해, 정신질환의 이해, 스트레스 관리, 회복을 위한 계획세우기 등 총 5회기로 진행되며, 7월부터 12월까지 도내 50여개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정신재활시설, 정신의료기관이 함께 사업을 꾸려나간다. 한편, 경북도는 정신건강복지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에 발맞춰 2018년 정신건강종합대책을 수립, 앞으로 생애주기별 정신건강증진 사업의 확대와 탈원화에 따른 지역사회중심의 중증정신질환자들에 대한 복지서비스 연계 강화, 정신장애인과 가족의 삶의 질 향상 등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들을 발굴·시행해 나갈 계획이다. 이원경 경북도 복지건강국장은 “도민의 정신건강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소외되기 쉬운 정신장애인에 대한 다양한 재활사업과 더불어 앞으로 이들이 지역사회가 제공하는 보편적 복지서비스도 누릴 수 있도록 인프라 구축에도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라며 “도민 여러분들도 정신장애인들에 대한 많은 관심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