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유진 경북지사 예비후보가 실질적인 공정경선 보장과 당의 혁신의지를 보여주기 위한 ‘국회의원 출신 출마자에 대한 20% 패널티 부여’를 거듭 촉구했다. 20일 남 예비후보는 “현재 국회의석 총 293석 중 더불어민주당이 121석, 자유한국당이 116석으로 보수야당과 친야 무소속이 합칠 경우 국회의장직 탈환도 가능하다”고 강조하면서 “그러나, 정치보복으로 구속자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의원 출신이 도지사 후보가 돼 사퇴하면 의회권력 장악은 멀어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더불어민주당은 ‘국회의원 출마 자제령’은 물론이고 선출직이 임기의 3/4을 마치지 않고 출마할 경우 10% 패널티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이미 밝혔다”면서 “이에 유력 전남지사 후보였던 이개호 의원의 불출마 선언 등 소속 의원들이 적극 협조하면서 선명성 경쟁에서 우리보다 한 발 앞서가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우리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경북지사에만 3명이 나오는 것도 모자라 출마선언 후 의정활동 불량, 정치후원금의 도지사선거 전용 시비 등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의원 출신이 공천될 경우 도미노처럼 보궐선거가 이어지고, 이는 자유한국당에 대한 여론악화와 혈세낭비 등으로 쟁점화 될 것이라 우려했다. 특히, 남 예비후보는 2016년 4.13 총선에서 임기 2년을 남겨둔 채 사퇴 후 대구 달서 갑에 출마해 20% 감점 패널티를 받은 단체장 출신 곽대훈 후보 사례를 들면서 “사상 최악의 공천 파동으로 탄핵과 정권 상실의 단초를 제공한 20대 총선 공천보다 후퇴해서야 되겠느냐”고 반문하여 “사실상 상시 선거운동이 가능한 의원출신과 경쟁에서 최소한의 형평성과 그간 적용된 원칙의 일관된 적용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남 예비후보는 “적폐의 본산이라는 오명을 쓴 경북의 선거에서부터 여당보다 더 강한 선명성을 보여줬을 때만이 잃어버린 유권자들의 마음을 얻어 본선의 필승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