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21일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도 차원의 종합대책 수립과 대응을 위한 ‘4차 산업혁명 대응 추진단’을 발족했다. 추진단은 경제부지사 진두지휘 하에 관련 실·국장으로 구성되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중장기 종합대책 수립과 산업·일자리 구조변화 분석, 제도·규제 개선-역기능 대응 등 과제 발굴·기획·조정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이 몰고 올 미래사회 변화에 대비 산업·경제 분야를 비롯해 농업·복지·문화관광·공공행정 등 도정 전반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21일 우병윤 경제부지사 주재로 열린 첫 회의에서는 4차 산업혁명 대응 필요성과 추진계획에 대한 총괄 설명에 이어 각 분야별 대응방향과 계획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우병윤 경제부지사는 “연초부터 공무원을 비롯해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기업체 등 현장 목소리를 반영해 산업분야 대응 과제발굴에 발 빠르게 노력해 왔다”고 평가하며, “이젠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이 산업·경제에 국한돼 있지만, 사실 사회 전반에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도정 전 분야에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우 부지사는 이를 위해 “중앙부처의 4차 산업혁명 정책과 연계해 각 분야별 지속가능하고 실질적인 정책·사업과제 발굴에 전 실·국이 발 빠르게 나설 것”을 주문했다. 경북도는 이번 추진단 출범을 시작으로 종합대책 수립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과 기획에 본격 나선다.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산업구조 혁신과 신산업 창출 방안은 물론, 문화·의료복지·안전·농업·도시·교통 등 공공 분야에 인공지능·빅데이터·AR/VR·로봇 등 신기술을 적용해 사회문제 해결과 공공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방안도 검토된다. 미래 많은 일자리들이 로봇·인공지능으로 대체되고, 고용구조와 직업의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신산업 분야 직업훈련과 실직․전직자 재훈련 등 일자리 대책과 제조업의 서비스화·스마트화에 대응한 중소기업 지원과 신산업 유치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밖에 지능정보사회 총체적 변화에 대비한 제도개선, 공공빅데이터의 활용방안 등도 발굴할 계획이다. 경북도 종합대책은 대경연·경북TP 등 관련 기관과 T/F를 꾸려 수립하게 되며, (가칭)경북 4차 산업혁명 전략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하반기 중에 확정할 계획이다. 한편, 경북도는 같은 날 대구그랜드호텔에서 지역 출신의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전문위원들과 간담회를 열고,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산업정책과 지역 현안사업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