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보건환경연구원은 4월부터 10월까지 도내 250개 지역을 대상으로 시·군과 합동으로 토양오염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토양오염실태조사’는 토양이 오염되어 있을 가능성이 큰 지역을 선정해 조사하게 되며, 토양 용도별로 산업단지-공장지역, 원광석·고철 등의 보관·사용지역, 산업단지 주변 등의 주거지역, 지하수 오염지역 등 16개 지역으로 나누어 조사한다. 특히 올해는 교통관련시설 지역 37개소와 어린이 놀이시설 지역 47개소를 중점 조사하며 지난해 실태조사 결과 중금속이 토양오염 우려 기준의 70% 이상인 지역은 재조사한다. 조사항목은 납·구리 등 중금속 8개 항목·벤젠·톨루엔·석유계총탄화수소(TPH) 등 유류 5개 항목, 시안 등 일반항목 9개 항목으로 총 22개 항목이다. 조사결과,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하면 오염원시설의 소유자에게 토양정밀조사를 실시하도록 한다. 또한,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개선·이전, 오염토양의 정화와 복원사업을 해야 한다. 한편,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19일 시·군 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토양오염실태조사를 위한 간담회’를 갖고, 실태조사 방법-절차 등에 관한 토의를 했다. 김준근 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토양오염은 물이나 공기와 달리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고 오랜 시간에 걸쳐 영향을 나타내며, 개선·복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토양생물과 지하수 등을 통해 인체에 영향을 미친다”며, “오염된 토양을 조기 발견해 대응책을 마련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