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보험료를 내지 않다가 ‘추후납부(추납) 제도’의 활용을 위해 국민연금에 다시 가입하여 노후준비를 하는 여성들이 늘어나고 있다.특히, 예전에 직장생활을 하다가 그만둔 50~60대 경력단절 주부의 추납신청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작년 한 해 대구·경북의 추납신청 현황을 살펴보면 추납 신청자가 1만3천137명으로 집계되었는데 이 중 여성이 8천630명(65.7%), 남성이 4천507명(34.3%)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9배 정도로 많은 것으로 파악되어 여성이 상대적으로 추납제도를 적극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 7천880명(60.0%), 50대 4천348명(33.1%)으로 50~60대가 93.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올 해도 여성의 추납신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1월 말 기준 대구·경북 추납 신청자는 1,056명이며, 그 중 여성이 720명, 68.2%의 비중을 차지했다.     노후준비가 충분히 되지 않은 5·60대 여성들 입장에선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으로, 짧은 기간 내에도 안정적인 노후소득의 한 방편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여성의 추납제도 활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추납신청이 가능한 대상자는 국민연금 가입대상에는 해당하나 소득이 없어 납부예외 기간이 있는 사람 또는, 배우자가 국민연금이나 공무원·사학·군인연금 가입자이고 본인이 소득이 없어 가입대상에서 제외된 사람은 과거 보험료를 1개월이라도 납부한 기간이 있으면 보험료 납부 이후의 기간에 대해 추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배우자가 국민연금 또는 직역연금 가입자이고 소득이 없는 전업주부인 여성의 경우 추납을 신청하려면 임의가입을 신청하고 최소 월 9만원의 보험료를 납부하여야 하며 최대 119개월치에 대해 추납이 가능하다.만약 과거 한달치를 낸 사람이 119개월치를 월 9만원 보험료로 한꺼번에 추납하게 되면 국민연금을 받을 나이가 되었을 때 약 20만원 가량의 연금을 평생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국민연금공단 구미지사 최복효 지사장은 “추납이 연금 받을 시기가 가까운 여성들에게 노후준비 수단으로 많이 활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납제도를 활용하면 경력단절 기간의 공백기간을 즉시 채울 수 있으므로 노후준비를 위해 적극 활용하시길 권해드린다”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