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지난 10월 25일 ‘제119주년 독도칙령의 날’을 맞아 ‘독도의 날’이 아닌 ‘독도칙령의 날’로 지칭했을 뿐 아니라 영남대 독도연구소 등도 학술대회에서 ‘독도칙령의 날’로 명명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철우 도지사는 지난 10월 23일 열린 ‘2019 경북도민의 날’ 기념사에서 “10월 25일은 독도칙령일입니다. 대한민국 땅, 경상북도의 땅인 독도 영유권을 굳건하게 지켜 내도록 앞으로 국제 홍보와 연구에 매진하도록 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10월 25일을 독도의 날이 아닌 독도칙령일이라고 언급했다.
독도를 관할하는 경북도가 ‘독도칙령의 날’을 규명하는데 앞장서고 있는 것이다.
경북도는 지난달 23일 영남대 독도연구소와 공동으로 ‘우리나라 독도교육의 현황과 향후 방향’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제작한 학술대회 안내서 앞표지에도 2019년 ‘독도칙령의 날’ 기념 추계학술대회라고 명기됐다.
대구대 인문교양교육연구소도 119주년 독도칙령의 날 기념 학술세미나 행사를 현수막에 광고한 데 이어 지난 2일 가진 119주년 기념학술세미나 브로슈어 앞표지에도 ‘독도칙령의 날(1900)’이라고 인쇄했다.
독도사수연합회 등은 지난달 25일 부산 동구 정발장군 동상 광장에서 ‘독도 칙령’ 제정 제119주년을 맞아 ‘독도 칙령의 날 기념식 및 독도 사수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국민 대다수가 10월 25일을 ‘독도의 날’로 알고 있는데 이들은 왜 고종 황제의 독도칙령 제정을 기념하는 ‘독도칙령의 날’을 주장하며 ‘독도칙령의 날’로 사수하는 것일까?
다음 내용은 이에 대한 답으로 독도의병대(대장 오윤길)의 주장과 설명이다.
일본은 2005년 일본의 독도이름을 국제사회에 알리기 위해 독도의 날을 만들겠다는 정보를 언론에 흘리면서 대한민국 국민의 반응을 보았다.
미끼를 덥석 물듯이 한국 국민들은 삽시간에 일본의 심리전에 말려 들었다.
모두들 간절히 애국하는 마음으로, 일본 독도의 날을 폐지하라는 집회·시위를 가지면서 일본의 독도 이름을 외쳐 주었다.
국제사회에 일본의 독도이름을 널리 알려주는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당시 한국에 살던 일부 외국인들은 한국의 독도이름은 들어보지 못했는데, 시위하는 모습을 보면서 일본의 독도이름을 알게 됐다고 고백했다.
이에 재미를 붙인 일본은 올해도 제13주년 독도날 기념행사를 가졌다.
독도의병대는 일본의 심리전에 말려들지 않기 위해 일본 독도날보다 106년이나 빠르게 ‘독도칙령’을 제정한 대한민국의 ‘독도칙령일’을 만천하에 알려야 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주장이 국제법적으로도 엄연히 효력이 있기 때문이다.
이성원 편집국장 newsir@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