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자 선정 문제 등으로 무산된 남북당국회담과 관련해 우리 정부의 조치에 과반수가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대응 역시 북한의 선 대화 요구를 기다려야 한다는 의견이 과반수였다. 장기적 안목에서 박근혜정부 집권 기간 남북관계는 호전 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 남북회담 무산 정부 대응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대표 이형수)는 지난 6월 13일 전국 성인남녀 1,148명을 대상으로 남북회담 무산 관련 우리 정부의 조치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56.8%가 ‘형식과 원칙을 지키려고 한 잘한 조치’라고 답했다. 이어 26.6%가 ‘포용과 대화 노력이 부족한 잘못한 조치’, 16.6%가 ‘잘 모름’이라고 답했다. ‘잘한 조치’ 응답은 50대(65.9%)와 60대 이상(64.3%), 경북권(67.4%)과 서울권(62.6%), 생산/판매/서비스직(66.8%)과 자영업(60.1%)에서, ‘잘못한 조치’는 20대(41.5%)와 30대(32.5%), 전라권(35.8%)과 경기권(28.3%), 학생(41.2%)과 사무/관리직(34.0%)에서 응답률이 높았다. 정당지지도별로는 새누리당 지지 응답자가 ‘잘한 조치 76.0%〉잘 모름 15.7%〉잘못한 조치 8.3%’, 민주당 지지 응답자가 ‘잘못한 조치 44.5%〉잘한 조치 40.1%〉잘 모름 15.4%’ 순의 응답률을 보였다. ◆ 남북회담 무산 향후 대응 향후 우리 정부의 대응 방향에 대해서는 57.5%가 ‘북한이 먼저 대화를 요청할 때까지 기다려야한다’고 답했다. 이어 31.0%가 ‘우리 정부가 먼저 북한에 대화를 요청해야 한다’, 11.5%가 ‘잘 모름’이라고 답했다. ‘북한 대화 기다려야’ 응답은 60대 이상(64.7%)과 50대(64.3%), 경북권(67.2%)과 경남권(64.6%), 전업주부(61.1%)와 자영업 및 농/축/수산업(각각 60.4%)에서, ‘우리 정부 대화 요청’은 30대(45.4%)와 20대(33.3%), 전라권(36.7%)과 경기권(34.6%), 학생(49.7%)과 사무/관리직(38.3%)에서 응답률이 높았다. 정당지지도별로는 새누리당 지지 응답자가 ‘북한 대화 기다려야 75.6%〉우리 정부 대화 요청 15.8%〉잘 모름 8.6%’, 민주당 지지 응답자가 ‘북한 대화 기다려야 50.6%〉우리 정부 대화 요청 41.4%〉잘 모름 8.0%’ 순의 응답률을 보였다. ◆ 박근혜정부 대북관계 전망 박근혜정부 집권 기간 동안 남북관계 전망을 묻는 질문에는 47.1%가 ‘대립에서 벗어나 획기적인 관계 개선이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29.9%가 ‘지난 정부와 비슷한 수준의 관계를 유지할 것’, 12.1%가 ‘강경 국면의 지속으로 관계가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답했다. ‘잘 모름’은 10.9%였다. ‘획기적 관계 개선’ 응답은 60대 이상(65.0%)과 50대(58.4%), 경북권(56.6%)과 충청권(50.4%), 전업주부(55.3%)와 생산/판매/서비스직(51.9%)에서, ‘지난 정부와 비슷’은 20대(43.3%)와 30대(36.0%), 충청권(36.8%)과 경남권(32.3%), 학생(42.1%)과 사무/관리직(40.1%)에서, ‘강경 국면으로 더 악화’는 30대(24.2%)와 20대(14.8%), 전라권(19.1%)과 서울권(12.9%), 생산/판매/서비스직(18.2%)과 농/축/수산업(18.1%)에서 응답률이 높았다. 정당지지도별로는 새누리당 지지 응답자가 ‘획기적 관계 개선 68.6%〉지난 정부와 비슷 17.1%〉더 악화 3.9%’, 민주당 지지 응답자가 ‘지난 정부와 비슷 46.3%〉획기적 관계 개선 31.7%〉더 악화 10.1%’ 순의 응답률을 보였다. 조사를 진행한 모노리서치의 이재환 선임연구원은 “응답자들은 대립 국면에서 대화 국면으로 급 전환 할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했던 남북당국회담의 무산 책임으로 북한을 지목하고 있었다”며 “하지만 향후 남북관계에 대해서는 긍정적 변화를 기대하는 목소리가 높아 한반도 긴장 완화에 대한 바람은 높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6월 13일 저녁 전국 19세 이상 남녀 1,148명을 대상으로 일반전화 RDD(무작위 임의걸기) IVR(ARS) 방식으로 조사했으며 성별, 연령별, 권역별 인구비례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89%p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